바로가기 목록
  • 조사연구 보고서

주요컨텐츠

정책평가·조사연구 보고서 

제4유형
조사연구 보고서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2016 심층연구4. 결혼이민여성 농업인의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과제
30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농업분야에도 생명공학기술(BT)과 정보사업기술(IT) 등이 적용되면서 농업의 부가가치 증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농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농업 종사자에 대한 여러 지원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2004년 제정된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매 5년마다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매년 각 부처별로 시행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현재는 2014년에 수립된 ‘제3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2015~2019년)’에 따라 연도별 시행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농업은 과거 1차 산업으로서 국가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지금은 새로운 산업으로 국가경제를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농촌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더불어, 현재 농촌사회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일고 있다. 그 변화는 여성농업인이 농업에 참여하는 노동력 수에 있어서 남성을 능가하고 있으며, 미래의 농업에서 생산과 가공 및 유통 분야에서 여성농업인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여성농업인은 한국농업을 이끌어 갈 주역으로 기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한국농업의 고부가가치 창출과 발전을 위해서 여성농업인의 전문인력화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하지만 농업의 잠재력과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농촌사회는 노령화와 저학력과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젊고 생산성 높은 인력이 농업부문에 종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이들 여성농업인력 전문 직업인으로서 역할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 목 차 -


제1장 서론
제2장 결혼이민여성의 전문인력화 필요성
제3장 결혼이민여성 농업인의 활용 현황 및 문제점
제4장 결혼이민여성 농업인의 사례를 통해 본 전문화 양상
제5장 결혼이민여성 농업인의 전문인력화 정책과제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