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관련기사 

제4유형
관련기사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정주생활기반] 귀농·귀촌 청년, 취약계층 돌봄 수요에 활용을
548

[정주생활기반] 귀농·귀촌 청년, 취약계층 돌봄 수요에 활용을

 

2019-10-15

 

귀농귀촌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은 농촌 공동체를 보존하고 활력을 주는 차원에서 반가운 현상이다. 급속히 진행되는 농촌인구 고령화와 공동화를 막는 해법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각 지자체마다 귀농귀촌인구 유입및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도 귀농귀촌인들이 그만큼 소중하기 때문이다. 귀농귀촌 희망자들을 대상으로 방문 상담과 설명회등을 개최하고, 농산어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는데 필요한 주택및 토지 매입등 각종 자금 지원과 성공적 정착에 필수적인 농업 경영능력을 갖추도록 각종 정책을 펼치고 있다.

 

전북연구원은 엊그제 이슈브리핑을 통해 이처럼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들 청년 인력들을 고령의 농촌마을 주민과 다문화 배경의 결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농촌생활 돌봄 서비스와 함께 청년 일자리 시책에도 연계시키자는 제안을 해 주목을 끌고 있다. 농촌생활 돌봄 서비스는 장보기와 말벗, 이동, 세탁, 주택관리, 가전제품 이용등 일상생활 전반을 지원해주는 일이다. 현재 우리 농촌에서 고령의 마을 원주민은 경제사회적 취약계층이며, 다문화 배경 결혼 이민자들은 농촌사회 관계망에서 상대적으로 배제된 상태여서 이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욕구에 부응하는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우리 농촌현실을 정확히 파악한 진단이다.

 

현재 우리 농촌의 급속한 노인인구 증가로 돌봄 수요는 급속히 느는데 비해 행정지원 손길은 미쳐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 가 많은 실정이다. 심지어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케어까지 목격되고 있다. 다문화 가정도 마찬가지다. 이같은 상황에서 귀농귀촌 청년들이 돌봄 서비스를 맡을 경우 취약계층의 복지 수요와 자신들의 정착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또 일부 귀농 귀촌인 가운데 일부가 마을 주민들과의 갈등등으로 귀농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역귀농을 하는 사례를 방지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돌봄 서비스를 통해 마을 원주민들과의 소통및 화합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농촌 취약계층 의 돌봄 수요에 귀농귀촌 청년들을 활용하자는 주장은 현 우리 농촌 현실과 딱 맞아 떨어진다. 많은 재정이 필요하지도 않을 것이다. 각 지자체 에서는 이같은 제안을 적극 검토하여 활용방안을 찾기 바란다.

 

<전북일보(desk@jjan.kr)>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64606&sc_section_code=S1N9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