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Post-FTA 농업통상 현안 대응방안
  • 
						    Post-FTA 농업통상 현안 대응방안

    저자
    김영훈 , 어명근; 이상현; 조성주; 정대희; 안수정; 오새라
    등록일
    2017.02.18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던 양자 간 FTA의 시대가 지나고, 복수국 간 FTA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12개국의 경제협정인 TPP가 타결되었고, 이에 따라 RCEP, FTAAP 등 복수국 간 FTA 협상의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미국의 주도로 타결된 TPP는 높은 수준의 시장개방에 합의하였을 뿐만 아니라, WTO에서 확립되지 않은 규범들을 도입하면서 국제 통상질서와 규범을 재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우리나라가 참여하고 있는 RCEP은 중국의 주도로 협상이 추진되고 있으며, TPP 가입 준비와 함께 우...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우리나라 FTA 추진현황 및 농업부문 평가
      제3장 TPP 관련 농업 분야 현안
      제4장 TPP 대응 방안
      제5장 RCEP 관련 농업 분야 현안
      제6장 RCEP 대응 방안
      제7장 글로벌가치사슬(GVCs)과 Mega-FTA

    요약문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던 양자 간 FTA의 시대가 지나고, 복수국 간 FTA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12개국의 경제협정인 TPP가 타결되었고, 이에 따라 RCEP, FTAAP 등 복수국 간 FTA 협상의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미국의 주도로 타결된 TPP는 높은 수준의 시장개방에 합의하였을 뿐만 아니라, WTO에서 확립되지 않은 규범들을 도입하면서 국제 통상질서와 규범을 재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우리나라가 참여하고 있는 RCEP은 중국의 주도로 협상이 추진되고 있으며, TPP 가입 준비와 함께 우리나라 입장에서 협상에 대한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TPP, RCEP 협상 추진 시 고려해야 할 쟁점들을 검토하고 협상 전략을 도출함으로써, 가입 이후 농업 분야에의 파급영향을 최소화하고 Mega-FTA를 활용할 수 있는 통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농업 및 비농업 통상전문가들과 정기적인 포럼을 통해 통상 현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포럼에서 논의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TPP, RECP에 대한 시장접근 분야 및 규범 분야 대응전략과 글로벌가치사슬을 중심으로 한 Mega-FTA 활용전략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The world economy had been pursuing multilateral systems under the WTO. However, regionalism has intensified with rapid expansion of free trade agreements since 1990.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tional trade order is recently changing from bilateral FTAs to Mega FTAs. TPP, which was concluded at the end of 2015, is an agreement, intended for economic integration of 12 countries, and by TPP, negotiation of RCEP is also accelerating.
    Korea has concluded 15 FTAs with 52 countries as of July 2016 and bilateral FTAs with major countries are about to be completed. Therefore, it is time to review negotiation strategies on TPP and RCEP as well as trade policy of Mega FTA.
    This study reviews issues to consider when negotiating TPP and RCEP, drawing negotiation strategy. Also, it aims to suggest trade strategy which can minimize impact o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utilize Mega FTAs.


    Method of Research
    Literatures regarding trends of international trade order and discussion on Mega FTAs were reviewed to study background of new international trade order. Also, current trade issues which Korea is facing were analyzed through the results of TPP negotiation, discussion and issues of RCEP,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data.
    Regular forums and seminars were held to discuss current agricultural trade issues and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forums were reflected in this study. The agricultural trade forum was formed of experts from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sectors and it was used as a door to collect extensive opinion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national trade negotiation will be developed, mainly by Mega-FTA and certain agendas in future. In particular, TPP established regulations on new trade issues over free trade of goods, including regulations which have not been treated in the WTO.
    Korea is required to have attitude of careful access since it has to adopt the existing agreement as a late comer. Most of all, conflicts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sectors concerning market opening are likely to occur, so responses need to be prepared to minimize social conflicts and costs considering domestic and overseas requirements. In particular, we need to prepare for additional market opening of sensitive products such as rice and measures on reinforcement of SPS regulations.
    Since Korea opened ASEAN and Chinese markets at a low level through FTAs, RCEP is likely to have bigger effect than that of TPP. Particularly, because there are a lot of agricultural exporters in RCEP, we need to prepare for responses to market access and regulations.
    Through Mega FTA, Korea will be able to create added value in terms of backward participation which exports manufactured products using the materials from overseas. Not only expanding exports of processed food with customs benefit of materials imported through Mega FTAs, but we also need to make it as an opportunity to export agricultural materials to the member countries.

    Researchers: Kim Younghoon, Eor Myongkeun, Lee Sanghyeon, Cho Sungju, Chung Daehee, Ahn Soojung, Oh Saera
    Research Period: 2016. 1. ~ 2016. 12.
    E-mail address: shlee@krei.re.kr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영훈 (Kim, Younghoo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01117 1 256 0 3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