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기후변화에 대응한 양봉업의 화분매개가치 측정 연구
  • 
						    기후변화에 대응한 양봉업의 화분매개가치 측정 연구

    저자
    이정민 , 김연중; 김부영; 박준홍
    등록일
    2023.03.3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따른 이상기후가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안정적인 식량공급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또한 도시화 진행과 농약사용 증가로 자연에 존재하던 화분매개곤충이 감소한 상황에서 꿀벌 집단실종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양봉업의 화분매개가치를 재조명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양봉업의 가치는 양봉산물의 경제적 생산액에 국한되어 생각되었으며, 양봉업이 화분매개를 통해 환경과 농업생산, 자연환경에 미치는 역할과 가치에 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미흡하여 양봉업의 가치가 과소 평가되는 한...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화분매개곤충 이용 현황
      제3장 화분매개곤충 지원 정책
      제4장 화분매개가치에 대한 평가
      제5장 화분매개가치 증대를 위한 발전방안

    요약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따른 이상기후가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안정적인 식량공급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또한 도시화 진행과 농약사용 증가로 자연에 존재하던 화분매개곤충이 감소한 상황에서 꿀벌 집단실종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양봉업의 화분매개가치를 재조명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양봉업의 가치는 양봉산물의 경제적 생산액에 국한되어 생각되었으며, 양봉업이 화분매개를 통해 환경과 농업생산, 자연환경에 미치는 역할과 가치에 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미흡하여 양봉업의 가치가 과소 평가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화분매개의 다양한 가치를 측정하여 양봉업이 농업에서 가지는 위상을 재정립하고, 안정적인 식량공급을 위해서는 화분매개가 필수적임을 제시함으로써 양봉업과 농업의 연계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양봉업의 화분매개가치를 제시하고, 양봉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urpose of Research
    ○In Korea, the value of the beekeeping industry has been assess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production value of beekeeping products. The pollination value has been excluded from the assessment, which has greatly decreased the value of the industry.

    ○Also, it has been difficult to secure the foundation for formulating policies for supporting the pollination sector due to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roles and value of the beekeeping industry through pollination in the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highlight the value of the industry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ts pollination function by measuring its pollination value. Based on the measurement,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the beekeeping industry in agriculture,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necessary to shape policies for building a continu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ustry and agriculture.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alyzed statistical data, and utilized beekeeping experts’ advisory meetings and a public surve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pollinating insects and related policies at home and abroad, and investigated public opinion on the value of pollination.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이정민 이미지

    저자소개
    이정민 (Lee, Jungmin)
    - 부연구위원
    - 소속 : 신산업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이정민 이미지

    저자소개
    이정민 (Lee, Jungmin)
    - 부연구위원
    - 소속 : 신산업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758 0 157 0 16
    •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지연구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윤찬미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김동훈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채홍기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용희원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권오상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홍연아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승준호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민선형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이정민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