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저자
    김동훈 , 윤종열
    등록일
    2023.06.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본 연구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방법을 이용하여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도시민 간 인식 차이와 현재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인과 도시민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지역 거주 경험이 있는 도시민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도와 애착심이 높고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가치 인식과 이를 유지·보전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세 부...

  • 목차

    • 1. 서론
      2. 분석 방법
      3.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방법을 이용하여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도시민 간 인식 차이와 현재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인과 도시민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지역 거주 경험이 있는 도시민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도와 애착심이 높고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가치 인식과 이를 유지·보전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세 부담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퇴 후 귀농·귀촌에 대한 의향이 높고 정부의 관심 및 지원 수준은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은 도시민보다 농업·농촌에 대한 애착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모든 부문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라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도시민의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정책과 농업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효과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living in rural areas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 and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To this e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urban residen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living in rural areas in the past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farmers and urban residen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in the presen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mpared to urban residents without experience in rural areas, those with it have higher interest in and attachment to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have higher awareness of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higher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tax to maintain and preserve th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se urban residents' intention to return to farming and rural areas after retirement was high and the residents thought the level of the government's interest and support was low. Farmers showed higher attachment to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an urban residents, but negative perceptions were high in all other areas. These results mea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living in rural areas. It is also implied that policies to raise urban residents' interest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s well as continuous interest in farmers and effective policy support, are needed.

    저자정보

    김동훈 이미지

    저자소개
    김동훈 (Kim, Donghoon)
    - 전문연구원
    - 소속 : 유통혁신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김동훈 이미지

    저자소개
    김동훈 (Kim, Donghoon)
    - 전문연구원
    - 소속 : 유통혁신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515 1 220 0 0
    •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정호중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
      석준호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임창식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가계의 과일류 수요함수 추정에 있어 품질변경과 가격조정 문제

      가계의 과일류 수요함수 추정에 있어 품질변경과 가격조정 문제
      용희원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영향 분석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영향 분석
      지정훈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민기채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지연구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윤찬미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채홍기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용희원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 이전글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