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2010년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자원환경

    과제성격
    정책연구(P) (P136)
    저자
    김창길 , 정학균; 장정경; 김태훈
    등록일
    2010.12.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이 추진되면서 농업부문에서의 대표적인 저탄소 농업인 친환경농업의 확산이 주요 정책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정부는 2013년까지 친환경농산물 생산 비중을 10%까지 확대시킬 목표를 세우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친환경농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친환경농산물은 생산측면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매년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요측면에서 보면 국민소득의 증가와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 세계적으로도 농산물의 안전성과...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친환경농산물 생산 및 유기가공품‧농산물 수입 현황
      제3장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 및 전망
      제4장 세계의 유기농업 실천현황 및 시장규모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이 추진되면서 농업부문에서의 대표적인 저탄소 농업인 친환경농업의 확산이 주요 정책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정부는 2013년까지 친환경농산물 생산 비중을 10%까지 확대시킬 목표를 세우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친환경농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친환경농산물은 생산측면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매년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요측면에서 보면 국민소득의 증가와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 세계적으로도 농산물의 안전성과 건강을 추구하는 웰빙 트렌드의 확산으로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내·외적 여건이 빠르게 변하는 상황에서 최근의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와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 및 전망 정보에 관한 사회적 수요가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의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와 그 추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변동요인을 고려하여 시장규모를 전망함으로써 정책담당자와 친환경농산물 생산, 유통, 가공업체 종사자들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을 바탕으로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를 분석하였고, 2020년까지의 시장규모를 전망하였으며, 세계의 유기농업 실천현황을 소개하였다.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창길 (Kim, Changgil)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창길 (Kim, Changgil)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75274 2 98 1 8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2/2차년도)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정학균
      2023.12.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이용건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

      수요자 중심 지역 농업 R&D 개선 과제
      이정민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김현중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박문수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용수 비점오염 관리 실태와 개선 방향

      농업용수 비점오염 관리 실태와 개선 방향
      유찬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1/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1/3차년도)
      정학균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저탄소농업 정책

      주요국 저탄소농업 정책
      정학균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정책 과제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위한 정책 과제
      성재훈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2/3차년도)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2/3차년도)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농림업 부문 에너지 이용 실태분석과 효율화 방향
      정학균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1/2차년도)
      김현중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주요국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시사점
      정학균
      2023.12.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데이터 기반 고병원성 AI 발생 확률 및 확산 위험 분석
      박문수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Agriculture in Korea 2010
  • 이전글 도서지역 농축수산물 해상화물 운송비 지원 방안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