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저탄소농업 직접지불제도 도입 방안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3-04)
    저자
    김창길 , 정학균; 김정승; 문동현
    등록일
    2013.01.30
  • 세계는 국제협약을 통해 온실가스 의무감축을 현실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20년 배출전망치 대비(BAU) 30%를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2011월 7월에 발표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농림어업 부문의 감축목표는 5.2%로 할당되었다.

    농림수산식품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감축잠재력이 높은 저탄소농업기술이 개발되어야 하고, 둘째로 개발된 저탄소농업 기술이 실제로 농가단위에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농가들이 저탄소농...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부문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현황
      제3장 저탄소농업 직접지불제 도입 검토
      제4장 주요국의 저탄소농업 직불제 사례
      제5장 농업부문의 저탄소 직불제 추진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세계는 국제협약을 통해 온실가스 의무감축을 현실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20년 배출전망치 대비(BAU) 30%를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2011월 7월에 발표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농림어업 부문의 감축목표는 5.2%로 할당되었다.

    농림수산식품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감축잠재력이 높은 저탄소농업기술이 개발되어야 하고, 둘째로 개발된 저탄소농업 기술이 실제로 농가단위에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농가들이 저탄소농업기술을 적용할 때 초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거나 노동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술적용이 용이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천농가에 대한 적절한 인센티브 제공 등 정책적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이 보고서는 「저탄소 농업 직접지불제도 도입 방안」에 관한 정책과제의 최종결과물이다. 주요 저탄소 농업 기술 적용의 경제성 평가를 바탕으로 적정수준의 지급단가·한도·기한 등을 산정하였으며, 농가의 저탄소 직불제 프로그램 참여 의향을 분석하였으며, 주요국의 저탄소 직불제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농업인들의 여건에 따라 실천 가능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방식의 저탄소농업 직불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저탄소농업 직불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사후관리를 위한 이행점검과 중앙정부, 시·군 정책담당자, 농업인, 유관기관 등 관련주체의 적절한 역할 분담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창길 (Kim, Changgil)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1142 0 6 0 0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돌아오는 농어촌, 농식품 산업의 미래를 열다
  • 이전글 독일 농업경영체 등록제 운용시스템과 시사점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