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1998년 북한의 식량 생산량 추정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국제농업

    과제성격
    정책연구(P) (P035)
    저자
    김운근 , 권태진; 김영훈; 정정길; 전형진
    등록일
    1999.01.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목 차
      머리말
      제1 장 서 론
      제 2 장 1998년 북한 농업 동향
      1. 농업정책 방향
      2. 농자재 공급 현황
      제 3 장 1998년 북한의 기상
      1. 기상 개황
      2. 농업지대별 기상
      3. 북한이 발표한 자연재해 상황
      제 4 장 식량 생산량 추정
      1. 북한 및 국제사회의 식량 생산량 추정
      2. 북한의 식량 생산량 추정
      제 5 장 식량 소요량 추정
      1. 북한 주민의 배급현황과 영양실태
      2. 북한의 식량 소요량 추정
      제 6 장 요약 및 결론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북한이 식량의 생산 및 소비와 관련한 통계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음에 따라 국내외 기관들이 식량난의 정도를 가늠하기 위해 식량 생산량 및 소요량을 추정하고 있으나 도출된 통계자료는 추정기관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는 북한의 식량난을 좀더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1998년도 식량 생산량 및 소요량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식량 부족량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 연구 범위 및 방법
      식량작물(미곡, 옥수수, 맥류, 서류, 두류, 잡곡)을 대상으로 1998년도 식량 생산량 및 소요량을 추정하였으며 1998/99 양곡연도의 식량수급을 전망하였다.
      북한 전역에 위치한 27개 기상관측 지점 및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남한의 시·군, 북한 인접 중국 변경지역을 대상으로 목측조사, 설문조사, 전화 인터뷰 조사 등을 통해 기온, 강수량 등 기후값 자료를 수집하여 평년값과 비교하고 각 작물의 생육조사와 작황조사를 통해 북한 지역의 식량 생산량 추정에 이용하였다.
      생산량 추정시 북한 농업지역을 9개 농업지대로 구분한데 기초하여 농업지대별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사회주의 집단농업체제의 비효율성, 농자재 부족(특히 비료부족), 냉해 피해를 중요한 변수로 고려하였다.
      (3) 식량 생산량 추정
      남한에서 재배되고 있는 북한 벼품종의 수량능력단수와 농가단수의 수량격차를 반영하고 체제차이, 비료부족, 냉해피해를 모두 반영한 결과 1998년도 미곡 생산량은 1,327천톤(정곡 기준), 옥수수 생산량은 1,347천톤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이 외 두류 생산량은 105천톤, 맥류 생산량은 159천톤, 서류 생산량은 133천톤, 기타 잡곡 생산량은 67천톤으로 각각 추정되어 1998년 북한의 식량 총생산량은 3,138천톤으로 추정되었다.
      표 1. 1998년도 북한의 식량 생산량 추정
      구 분
      총계
      미곡
      옥수수
      맥류
      두류
      서류
      기타
      잡곡
      재배면적
      (천ha)
      1,420
      580
      600
      70
      100
      40
      27
      단 수
      (톤/ha)
      2.29
      2.25
      2.27
      1.05
      3.32
      2.48
      생 산 량
      (천톤)
      3,138
      1,327
      1,347
      159
      105
      133
      67


      (4) 식량 소요량 추정
      1998/99 양곡연도의 식량 소요량(인구 2,310만명 기준)은 순식용 5,116천톤, 사료용 287천톤, 가공용 627천톤, 종자용 108천톤, 감모 173천톤 등 총 6,311천톤(정곡 기준)으로 추정되었으며 순식용만을 고려할 경우 5,116천톤으로 추정되었다.
      표 2. 북한의 식량 소요량 추정(1998/99)
      단위: 천톤
      구 분
      순식용
      사료용
      가공용
      종자용
      감 모
      정곡계
      조곡계
      미 곡
      옥수수
      맥류(밀)
      두류(콩)
      서류(감자)
      기타 잡곡
      2,811
      873
      425
      109
      152
      81
      -
      638
      3
      14
      26
      2
      87
      409
      24
      36
      71
      -
      26
      52
      1
      14
      14
      3
      74
      73
      2
      5
      16
      3
      2,998
      2,045
      455
      178
      279
      89
      4,164
      2,045
      -
      178
      1,395
      89

      4,451
      683
      627
      110
      173
      6,044
      7,871

      (5) 1998/99 양곡연도 식량수급 전망
      1998/99 양곡연도의 북한의 식량 수급량은 총 소요량 6,311천톤에 총 생산량 3,138천톤으로 부족분은 3,173천톤으로 추정되었으며 순식용 소비만을 감안할 경우 1999년 6월초까지는 공급할 수 있지만 이후 약 210만톤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사회지원 113만톤(WFP 53, 미국 30, 기타 30), 상업적 수입 30만톤(FAO/WFP예측)을 가정할 경우 추가로 143만톤의 식량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1998/99년 북한의 식량 수급 전망
      구 분
      총계
      미곡
      옥수수
      맥류
      두류
      서류
      기타
      잡곡
      재배면적(천ha)
      총소요량(천톤)
      총생산량(천톤)
      과 부 족(천톤)
      1,417
      6,311
      3,138
      △3,173
      580
      3,270
      1,327
      △1,943
      600
      2,401
      1,347
      △1,054
      70
      76
      159
      83
      100
      171
      105
      △66
      40
      335
      133
      △202

    요약문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운근 (Kim, Woonkeun)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운근 (Kim, Woonkeu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4331 0 30 0 0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전형진
      2023.1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이형용
      2023.05.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캄보디아
      허장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준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최용호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차원규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국제농업개발협력 개발컨설팅 대상 사업 선정 연구
      허장
      2021.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김경필
      2021.08.06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1.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몽골
      허장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일본 녹차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농업전망(2021~2030)

      중국농업전망(2021~2030)
      전형진
      2021.10.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경필
      2021.12.13
      KREI 보고서

      더보기

    •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인도네시아 농업과 농식품 교역 동향
      김경필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2022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22.05.18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