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천일염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연구자료 (D289)
    저자
    한재환 , 최병옥
    등록일
    2010.06.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천일염은 1963년 염관리법이 제정된 이후 45년간 법적으로 광물로 분류되어오다가 2007년 11월에 염관리법이 개정되면서 식품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천일염 관리업무도 2009년 3월에 지식경제부에서 농림수산식품부로 이관되어 고부가가치 식품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그동안 국내산 천일염은 외국산에 비해 우수한 성분을 함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최고의 품질을 보유한 프랑스 게랑드산보다 염화나트륨 함량이 낮고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지만, 시중에서는 50배정도의 가격차이가 있...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소금 관련 정책과 법령
      제3장 천일염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제4장 천일염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요약문

    천일염은 1963년 염관리법이 제정된 이후 45년간 법적으로 광물로 분류되어오다가 2007년 11월에 염관리법이 개정되면서 식품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천일염 관리업무도 2009년 3월에 지식경제부에서 농림수산식품부로 이관되어 고부가가치 식품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그동안 국내산 천일염은 외국산에 비해 우수한 성분을 함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최고의 품질을 보유한 프랑스 게랑드산보다 염화나트륨 함량이 낮고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지만, 시중에서는 50배정도의 가격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천일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생산·유통·수입 등 각 부문에 산재해 있는 제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그러나 천일염산업을 구성하는 각 부문의 현황이 체계적으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천일염산업 육성을 위한 적합한 추진체계를 구축하는 데 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천일염산업의 발전을 위해 각 부문에서 문제점을 파악·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한재환 (Han, Jaehwa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8307 2 56 0 2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