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이슈+

제4유형
  • 친환경농산물 저농약인증제 폐지에 따른 대응방안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정학균 , 문동현
    등록일
    2013.03.3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정부는 친환경농산물의 신뢰성 제고 및 일반농산물과의 가격 차별화를 위해 2015년에 저농약인증제도를 폐지할 계획이다.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이러한 제도적 변화에 의해 친환경농산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저농약농산물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2010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저농약인증제도의 폐지는 향후 친환경농산물 생산, 시장규모,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과실류의 경우 유기나 무농약재배가 어려워 친환경 과실류의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 및 인증실적
      제3장 저농약인증제도 폐지 영향과 유기·무농약 전환요인 분석
      제4장 저농약인증제도 폐지에 따른 대응방안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정부는 친환경농산물의 신뢰성 제고 및 일반농산물과의 가격 차별화를 위해 2015년에 저농약인증제도를 폐지할 계획이다.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이러한 제도적 변화에 의해 친환경농산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저농약농산물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2010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저농약인증제도의 폐지는 향후 친환경농산물 생산, 시장규모,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과실류의 경우 유기나 무농약재배가 어려워 친환경 과실류의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친환경농업에 있어 사실상 가장 큰 구조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제도변화의 영향을 분석하고, 적절한 대응전략을 도출하는 연구가 긴요하다.

    이 연구는 친환경농가 조사를 바탕으로 제도적인 변화가 친환경농산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 및 저농약인증제도 폐지에 따른 농가반응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농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저농약인증 농가들의 향후 재배의향을 분석하였다. 저농약재배 농가들의 유기·무농약 전환의향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저농약인증제도 폐지 대응 친환경농업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정학균 이미지

    저자소개
    정학균 (Jeong, Hakkyun)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거시농정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2727 0 74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