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보도] 농축산 비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감축노력 절실, 작목 특성 고려한 적응정책 필요
2804
원문

농축산 비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감축노력 절실, 작목 특성 고려한 적응정책 필요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 ’ 연구 통해 밝혀



교토체제가 마무리되어 가는 시점에 새로운 기후체제를 맞이하게 되었다. 각 나라별로 목표를 정하여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겠다는 범지구적인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지난 2015년 우리나라도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37% 감축안을 목표로 세웠다. 제조업 비중이 높고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상황에서 목표 달성은 쉽지 않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 이상민 연구위원 등은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1/2)’ 연구를 통해 “농축산식품부문 비에너지 분야 감축노력이 절실한 실정이며, 적응을 위해서는 작목별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05년부터 2013년까지 농업 관련부문의 온실가스 연평균 배출량은 약 3천만 톤CO2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가운데 축산활동을 통해 배출되는 메탄과 농경지토양을 통해 배출되는 아산화질소 등을 모두 고려했을 때 가축분뇨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연간 약 860만 톤CO2 정도로 농축산식품 부문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벼 재배에 의한 배출량 약 760만 톤CO2 등 농축산부문 비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민 KREI 연구위원은 “식량 공급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농축산식품 분야의 경우 기후변화가 심화되는 경우 직면하게 될 위험과 식량 공급시스템의 취약성을 고려하면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하며,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수단을 제시했다.


벼 재배와 관련한 감축수단으로 최적비료사용, 표층시비, 무경운, 휴립건답직파재배, 재배시기 변경 등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온시설로는 목재펠릿이나 지열히트펌프를, 에너지 효율제고 시설로는 순환식수막재배와 배기열회수장치 등이 유리하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감축 대상품목으로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에서 선정한 품목을 우선적으로 감축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제시했다. 대표적으로 벼, 파, 배추 등의 노지작물과 들깻잎(시설), 방울토마토, 오이, 시설고추, 상추(시설), 새송이버섯, 시설감귤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잠재수량, 생산함수의 내성, 최적 투입재량 등 작목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채소류의 경우 품종개발과 같은 R&D보다는 농가의 생산비 감축과 연관된 중간재 적정 활용기술의 개발이나 농가의 정보비용을 줄일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등을 효과적인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잡곡류를 제외한 곡물류의 경우 잠재생산량과 생산함수의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R&D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과학적으로 감축결과를 증명할 수 있는 투명한 감축 수단 개발이 시급하며, 적응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인벤토리를 구체화하고 농가 단위의 취약성 분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적응과 감축, 그리고 생산성 유지라는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작성자 대외협력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