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보도] 청년농 육성, 현장에서 실효성 있는 정책추진 필요
8325
원문

청년농 육성, 현장에서 실효성 있는 정책추진 필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청년 창농으로 찾는 농촌 활력’ 생생현장토론회 및 청년리포터 발대식 개최

 

 

청년농 육성을 위해 현장에서 실효성 있는 정책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이 ‘청년 창농으로 찾는 농촌 활력’을 주제로 9일 전남농업기술원에서 개최한 2018년 제1차 KREI 생생현장토론회에서 나왔다.

 

이날 토론회에 모인 참석자들은 농가경영주 평균 연령이 65세를 넘어선 상황에서, 40세 미만의 청년 농업인을 육성·지원하는 것은 농업의 경쟁력 유지와 농촌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데 공감했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 창농으로 찾는 농촌 활력’이라는 주제발표에서 “현재 청년농 육성체계는 정책, 사업, 주체는 있지만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청년 창업농 육성체계의 문제점으로 청년농에 대한 인재상이 부재하고,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작동하는 정책 사업이 부족하다. 또한, 영농기반이 취약한 신규 청년 창업농에 대한 고려가 적으며, 청년농 육성을 위한 민간 참여 거버넌스가 미흡하고, 지역 단위의 청년 창업농 지원 체계가 부재하다는 것이다.

 

마 연구위원이 최근 발표한 ‘청년 창업농업인 육성체계 개선방안 연구’에서 청년 농업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청년 창업농업인은 매년 1천 명 가량 유입되고 있으며, 이 중 승계 창농과 신규 창농의 비율은 사대 육(4:6) 정도였다. 향후 청년 농가수의 변화를 전망해 보았을 때, 현재보다 매년 1천 명 이상이 추가 유입되어야 이 감소세는 증가세로 전환될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농업인의 정착 실태를 살펴본 결과, 신규 창업농과 승계 창업농의 영농 차이, 창업농들의 경영 및 삶의 질 상황이 호전되는 시점(영농 경력 3년 전후)을 구명했다. 또한 성공적으로 정착한 사람들은 학교교육 또는 사회교육을 통해 적극적으로 기술교육을 받았고, 인적 네트워크를 잘 활용하여 어려움을 극복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승계 창업농은 부모님과의 갈등, 신규 창업농은 농업기술센터, 농협 등 창농 지원조직과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 연구위원은 청년 창업농 육성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기본 방향으로 “지역 참여 거버넌스 기반 창농 단계별, 창농 유형별, 종합(패키지) 지원을 통해 청년 창업농 생태계를 구축한다”라고 설정했다. 또한, 세부 추진 과제로 청년 농업인상 설정, 창업농 육성 단계 설정 및 사업 체계화, 지역 농업인력 육성 계획 수립, 지역 농업인력육성 거버넌스, 원스탑 창농지원조직 운영, 창농 유형별 맞춤형 지원, 청년농 기본생활자금 지원, 청년농 삶의 질 지원, 농업 이미지 제고 및 예비 창농인 저변 확대, 청년농 정기 실태조사 등을 제안했다.

 

청년 창농 사례발표를 한 윤영진 지오쿱(ZIOCOOP) 이사는 ‘지역네트워크를 활용한 오픈 플랫폼’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지오쿱은 2017년 전남지역의 청년창업농들이 모여 발족한 협동조합이다. 농가마다 독립된 브랜드와 사업영역을 갖고 협동조합으로 뭉쳐 판매·마케팅 등에서 상생효과를 내고 있다. 윤 이사는 “중장기 목표로 지역 네트워크를 통한 유기적 융복합 사업조직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선아 우리원 농장 대표는 ‘나는 농부입니다’라는 제목의 사례 발표를 통해, 우리원 농장에서 하고 있는 유기농업과 6차산업 등을 소개했다. 전남 보성군 벌교읍에 위치한 우리원 농장은 ‘유기농 대부’ 고(故) 강대인 명인의 유기농업과 안전한 먹거리 생산의 의지를 이어가는 곳이다. 강 대표는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을 위해 청년농업인의 육성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발표 이후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장 주재로 토론이 이어졌다. 김미선 지리산피아골식품 대표는 “청년농 지원정책이 대부분 생산쪽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진입장벽이 높아 활용도가 떨어진다”며, 맞춤형 사업의 확대를 강조했다. 김찬중 호남원예고 교장은 “학교에서 어떤 인재를 길러야 하는지에 대한 청년농업인상이 먼저 설정되어야 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육성·지원할 원스톱 창농지원조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욱 나주시농업회의소 사무국장은 “농촌에 들어온 청년들이 자립을 못해 떠난다”며, 창업농에 대한 지원 확대를 강조했다. 김봉환 전남농업기술원 기술지원국장은 청년농업인들이 성공하는 이유에 대해 ‘긍정적인 마인드와 열정’을 중요하게 꼽으며, 기술원의 다양한 지원사업을 소개했다. 한태호 전남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는 “청년이 도구가 아닌 목적이 되는 청년농 정책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선호 전남도 농업정책과장은 “청년농들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각종 지원 사업들을 추진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청년리포터 발대식도 가졌다. 향후 연구원은 전국 농업·농촌 현장의 청년 20명으로 구성된 ‘KREI 청년리포터’와 소통하며 현장성 있는 연구를 기획·수행할 계획이다.



* 관련 사진 보기

작성자 대외협력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