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보도] 면 소재지 등 근거리 생활권 단위의 농촌 마을 활성화 전략 필요
3668
원문

면 소재지 등 근거리 생활권 단위의 농촌 마을 활성화 전략 필요

KREI,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4/5차년도)’ 통해 밝혀


과거 농어촌 마을의 전통적 공동체가 약화 혹은 소멸되면서 주민들이 생산과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활동 공간이 마을 너머로 확대되는 가운데, 읍·면 범위의 생활권이 농어촌 주민의 일상생활 및 경제활동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이 최근 완료한 ‘한국 농어촌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 제4차 연도 연구에서 나왔다. 


이 연구에서는 농어촌 사례 지역별로 총 70명의 마을 이장 조사와 567명의 주민 설문조사를 토대로 주민들의 주요 상품·서비스 유형별 구매·이용권 및 경제활동권 등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중심지의 기초 생활 서비스 기능이 저하되지만 농어촌 주민의 활동 공간이 면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농어촌 주민 구성이 귀농·귀촌 등을 통해 다변화되며 기동성이 높은 주민이 늘어났지만, 이 때문에 기초 중심지의 기능이 약화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족적인 농어촌 생활권을 이루려면 소재지의 서비스 기능 강화와 함께 지역 내 순환적인 경제활동을 형성하는 전략이 유효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고서에서는 농어촌 마을의 생산공동체나 생활공동체 기능은 앞으로 계속해서 약화되거나 소멸할 것으로 진단했다. 반면, 주거 장소로서 마을의 역할은 장래에도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었다. 도시에 적을 두고 농어촌 지역에 계절적으로 머물거나, 가족 중 일부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2지역 거주 가구가 증가하는 현상이 이러한 예측을 뒷받침했다.


성주인 연구위원은 “이 같은 조건 속에서 향후 농어촌 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장래 요구되는 공동체 활동 특성에 맞추어 마을의 역할을 새롭게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통적인 ‘개별 마을 단위의 공동체 활동’과 함께, ‘복수 마을 및 권역 단위 공동체 활동’과 ‘가치 기반 공동체활동’ 조직을 육성하는 전략도 지역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 연구위원은 농어촌 마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 농어촌 생활권의 기초중심지와 배후 마을을 연계하는 통합적 육성 ∆ 귀농·귀촌인과 2지역 거주자, 취약계층의 주거복지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주거환경 정비 ∆ 농촌 장기 비전과 체계적인 계획으로 이어지는 정부 차원의 미래 발전전략 도출 ∆ 지역 단위의 농어촌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첨부. 요약자료 1부

작성자 대외협력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