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뉴스] '2020 지속가능농업개발을 위한 글로벌 ODA 포럼’ 개최
11778
원문

코로나19와 기후변화 대응 위해 농업에 신기술 적용 필요
KREI,‘2020 지속가능농업개발을 위한 글로벌 ODA 포럼’개최





코로나19와 기후대응 변화 등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겪고 있는 문제를 풀기 위해 농업에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이 같은 의견은 11월 9일과 10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가 주최하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주관한 2020 지속가능농업개발을 위한 글로벌 ODA 포럼’에서 나왔다. 포럼에서는 코로나19에 대응한 국제사회의 농업개발협력 전략을 공유하면서 식량안보, 스마트농업, 가축방역, 농업 가치사슬에 대한 국제기구 및 여러 국가의 전략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의 프랭크 리즈버만(Frank Rijsberman) 사무총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농식품 가치사슬의 붕괴와 코로나19에 따른 새롭고 혁신적인 농업 생산과 농식품 유통·보급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리즈버만 사무총장은 “미래 농업 및 농식품 부문은 기후변화와 전 세계 인구의 영양학적 문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환경과 기후, 보건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농식품 체계의 발 빠른 변화,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농업부문 기후변화의 혁신적 대응, 농업부문의 신재생 에너지 활용을 통해 코로나19 펜데믹과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1분과에서는 코로나19와 관련한 식량안보 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세계식량프로그램(UN WFP) 한국사무소의 임형준 소장은 WFP가 식량배급을 위해 다목적 현금, 이카드(ecard) 등 다양한 방식을 고안해왔으며, 국경에서 자가격리하고 있는 이민자들을 위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 국제미작연구소(IRRI) 플로리 캐롤린(Florey Carolyn) 기술책임자는 농업부문 개발은 농가의 생산성과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디지털 농업을 통해 전 세계 농식품 가치사슬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강조했다. 세계은행(WB) 마두르 가우탐(Madhur Gautam) 수석경제학자는 코로나 팬데믹이 수백만 인구의 소득과 영양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이러한 팬데믹에 대한 단기적이고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통해 상황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필리핀 농업부(DoA) 페르난도 플로어스(Fernando D. Flores) 사업개발국장은 포스트코로나에 대응한 필리핀 농업부의 전략을 공유하면서 필리핀의 식량 생산 전략, 농업기술 개발, 식품 보급 전략 등을 공유했다.


2분과에서는 코로나19와 관련한 스마트농업 현황에 대해 다양한 발표와 논의가 이루어졌다.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시몬 살라(Simone Sala) ICT 전문위원은 농업 생산성 증대를 통해 농촌 지역의 사회·경제적 환경 개선을 촉진하는 ICT 활용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유엔해비타트(UN-HABITAT) 더글라스 라간(Douglas Ragan) 프로그램 전문가는 농업부문 협력 프로젝트에 대한 논의와 환경 개선, 지역 경제 및 공동체, 글로벌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시했다. 베트남 정부 농업·농촌개발부 응우옌 도 앙 뚜언(Nguyen Do Anh Tuan) 국제협력국장은 베트남과 한국 정부의 베트남 농업개발 관련 ICT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향후 협력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마지막 발표자인 라오스 농림부 포미 인티착(Phommy Inthichack) 국제협력 부국장은 라오스 경제에 있어 농업의 중요성과 개발목표, 그리고 코로나19에 대응한 라오스 농림부의 ICT 및 스마트팜 전략을 공유했다.


1분과 토론에서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윤지현 교수는 “WFP가 식량안보 관점에서 사업을 잘 운영하고 있으나, 사업의 효율성 제고 방안과 영양전문가 영입을 통한 농업 ODA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2분과 토론에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전우석 과장은 “많은 국가에서 소작농들이 제한된 정보 접근성으로 인해 영농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면서, ‘한국 정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스마트마을(Smart Village)과 같은 프로젝트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정보 접근성 확대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식품의 취약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기후변화, 전염병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밝혔다.


3분과에서 국제축산연구소(ILRI) 훙 응우옌-비엣(Hung Nguyen-Viet) 동물건강사업책임자는 ILRI가 동물보건 지원 방안으로 인간, 동물, 환경의 세 가지 중점 요소를 고려한 원헬스(One Health) 접근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인수공통 감염, 항생제 내성 등의 당면과제를 해결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몽골 정부의 자야 바트히시그(Zaya Batkhishig) 대외관계담당관은 축산업은 몽골 노동력의 25%를 담당하고 있는 주요 산업으로 정부 차원에서 원헬스 전략과 세계동물보건기구(OIE)의 지침을 적용하는 등 정책과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4분과에서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로맹 브리에(Romain Brillie) 전문가는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생산성 감소, 식량안보 불안정성 증대 등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정부의 재정적·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엔개발계획(UNDP) 유스케 타이시(Yusuke Taishi) 기술자문위원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에는 820만명의 영양결핍상태 인구가 증가했으며, UNDP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여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미얀마 농축산관개부 쪼쉐린(Kyaw Swe Lin) 국제협력국장은 공적개발원조는 포스트코로나 경제개발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미얀마 정부는 농업부분에 대한 적극적 투자를 통해 식량안보와 더불어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


KREI 허장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장은 “이번 포럼에서는 전 세계에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식량안보와 가축질병의 대응, 이의 해결 방안으로서의 스마트 농업과 근본적 해결 방안이 필요한 농업가치사슬 개선이라는 무거운 주제로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언급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국제기구와 주요 협력대상국,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원조 효과성과 개발 효과성을 높이는 노력을 함께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관련 사진 보기

작성자 성과확산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