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일본의 황새 복원 성공기
8508
기고자 김병률
한국농어민신문 기고| 2007년 7월 9일
 김 병 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지난 4월말 서울대공원에서 황새가 처음으로 자연부화에 성공했다. 우리 나라에서 황새는 러시아, 중국 동북부,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던 황새와 같은 종으로 6.25 전쟁 이전 만해도 텃새로서 황해도와 충청북도 등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길조로서 주변 숲의 소나무에 예사로 둥지를 틀고 살았다. 그러나 6.25전쟁과 식량 증산을 위해 농약을 많이 살포하고 사람들이 잡아서 박제용으로 많이 쓰면서 멸종되기 시작했다.

 

살기 좋은 조건 만들어 야생방사

 

1971년에는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황새 한 쌍이 음성군에서 발견되었으나 언론보도 후 3일만에 밀렵꾼에 의해 수컷이 사살되고 암컷만 남아 12년 동안 과부황새로 외톨이 생활을 하였다. 그러다 1983년 농약중독으로 창경원으로 옮겨 치료받고 서울대공원에서 살다 1994년 노환으로 죽게 되어 완전멸종되었다. 그 후 서울대공원에서는 1999년에 일본 동물원에서 황새 2쌍을 들여와 생태형 동물원을 조성하여 최근 자연부화에 성공했다.

 

일본은 어떤가. 필자는 지난 5월말 일본의 교토 근처 효고현의 토요오카시에 있는 ‘황새의 고향 공원’을 다녀왔다. 일본에서는 1800년대말과 1900년대초 명치시대에 우리나라와 같은 종의 황새가 많이 서식하였고 그 곳 토요오카 지역에 마지막으로 서식하다 1971년에 멸종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일본은 바로 그 지역에서 1989년 인공부화에 성공하고 1992년부터 야생복귀계획을 시작했다. 1995년에는 황새고향만들기연구회, 1999년에 추진위원회, 2000년 황새고향 조시동우회, 2001년 황새고향 영농조합, 2003년에 야생복귀추진연락협의회 등 황새와 관련한 조직들을 발족시켰다.

 

2005년부터 황새의 야생방사를 시작하여 현재 16마리 정도가 지역 내 논과 나무에 서식하게 됐다. 금년 5월 25일에는 43년만에 처음으로 1마리가 자연부화에 성공하여 언론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황새농법 쌀 재배ㆍ관광자원 활용

 

그 지역의 농업개량보급센터에서는 황새가 서식 가능한 생태조건을 만들기 위해 친환경적인 황새농법을 연구하고 농민들은 황새농법 쌀을 생산하여 비싸게 팔기 시작했다. 황새서식처와 황새기념관, 시민농원, 친환경생산단지를 만들고 심지어 논 가운데 탑을 세워 그 위에 인공적인 황새 둥지를 만들어 대형크레인을 이용해 황새의 활동을 카메라로 실시간 촬영하는 등 지역 상품화로 극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관광객이 급증하여 2005년 20만명에서 1년 새 50만명으로 급증했다.

 

똑같은 황새 복원인데 우리나라와 일본은 이렇게도 차이가 나고 있다. 우리 나라는 단지 동물원에서 인공적으로 생태공원을 만들어 황새를 자연부화하는데 그쳤지만, 일본은 과거 황새 서식지였고 마지막으로 멸종된 장소인 토요오카시에서 지역주민, 농민, 농업개량보급센터 연구자, 교수들이 연대하여 황새를 복원하고 황새가 자연서식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농법을 개발해 황새의 고향이라는 유명 브랜드를 만들어 관광상품과 농산물판매로 십분 활용하고 있다.

 

농산물 판매 활용사례 본받을 만

 

이러한 점은 충분히 본받을 만하다. 하나의 아이템을 지역주민, 농민, 연구자, 학자, 공공기관에서 합심해서 상품화하여 관광자원과 소득원으로 만드는 지혜를 배우자. 내가 음성군수라면 당장에라도 황새를 음성군 브랜드로 상품화하겠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