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선택
3578
기고자 송미령

  농민신문 시론| 2012년 2월 13일
 송 미 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지금 우리 농촌이 처한 가장 절실하고 근본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다름 아닌 ‘사람’ 부족 문제이다. 더 나은 일자리와 교육 기회를 찾아 사람이 빠져나가다 보니 농촌 지역경제가 침체되고 서비스 공급도 비효율적이 되었다.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정책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견인해 갈 사람이 부족하여 충분한 성과를 내기 쉽지 않았다. 이처럼 사람 부족은 지역사회의 존망과 직접 관계되니 그야말로 심각한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희망은 귀농·귀촌에 관심을 가지는 이들이 제법 증가하고 있음이다. 근대화 이후 수십년 동안 보였던 ‘이촌향도’라는 인구이동의 양태는 최근 들어 ‘이도향촌’으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작년 귀농인구는 역대 최고라고 집계되었다. 무엇보다 최근의 귀농·귀촌이 ‘경제적인 이유에서 도시 탈출’이라기보다는 여유와 생태가치 지향의 삶,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등을 위한 것으로 해석되는 만큼 분명히 이는 농촌에 새로운 희망을 보여 주는 좋은 징후라고 볼 수 있다.

 

  지금부터 우리 농촌은 귀농·귀촌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경제·사회·문화구조 재편에 돌입하여야 한다. 먼저, 농촌 내부 사람이 더 이상 떠나지 않고 외부 사람이 들어오려면 적절한 생업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농업소득 증대뿐만 아니라 농촌에 들어와 농업·농촌 관련 비즈니스에 창업이나 취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안을 마련해야만 한다. 가공·유통·마케팅분야뿐만 아니라 교육·복지·문화서비스 등 실로 다양한 일자리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촌의 생활서비스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농촌은 주거·교통·교육·의료·문화 등 각종 생활서비스 이용 측면에서 불편하고 불리하다. 특히 자녀 교육이나 응급의료 등과 같이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는 차원이 아니라 타협의 여지가 없는 서비스라면 농촌 정주를 고민하게 만드는 결정적 요인이 된다. 전국 어디에 살더라도 최소한의 서비스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중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고 당연한 선택이다.

 

  한편 공동체적 문화 형성도 중요하다. 많은 귀농·귀촌자들이 지역에 융합되지 못해 농촌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농촌 지역사회로부터 고립되거나 귀촌가정들만의 커뮤니티로 분리되어, 심한 경우 주민들과 반목하다 지역을 떠나는 사례도 있다. 새로 농촌에 들어오는 사람 입장에서는 농촌 공동체의 성격을 충분히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농촌 주민 역시 열린 태도로 새로운 이웃의 문화를 이해하고 익숙하지 않은 부분을 도와줄 때, 그들이 농촌 지역사회의 새로운 ‘사람’으로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농촌의 가치에 대한 사회 보편의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농촌의 인구 증가가 우세한 역도시화 현상을 이미 경험했던 영국에서는 전원도시운동을 통해 농촌의 매력을 현실 속에 구현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성과를 거두었다. 그 이름이 무엇이든 농촌의 가치와 매력을 전 국민이 공감함으로써 새로운 생활방식으로 구체화시키고 그것이 농업·농촌 발전을 이끌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이 또한 피할 수 없는 농촌정책의 선택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