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지진에 농민과 농촌 주민은 안전한가?
4710
기고자 김용렬
한국농어민신문 기고 | 2017년 11월 21일
김 용 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지난 11월 15일에 발생한 포항 지진으로 인해 많은 이재민이 발생하고 시설피해도 많다고 한다. 추위 속에서 불안에 떨고 있는 이재민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다.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더욱 분명해졌다.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경주 지진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강력한 지진이라고 한다.

그럼 지진이 발생하면 농촌은 안전한가? 농민과 농촌 주민은 안전한가? 준비는 얼마나 되어 있을까? 모두가 궁금한 사항이다.

도심과 농촌지역 피해 양상 달라

이번 지진에 대해 언론에서 보도되고 있는 내용 중에는 농업·농촌과 관련된 것은 많지 않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1월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포항 지진 관련, 농업용 저수지는 안전하다"라고 하면서 저수지 안전에 대해 신속히 대응했다. 한 전문지에서도 사설을 통해 ”지진 계기로 농업시설 안전 재점검해야“ 라고 했다. 저수지를 비롯한 주요 농업시설에 대한 대비가 주를 이루고 있다.

주요 일간지들은 11월 17일 ‘포항지진 피해가 경주지진보다 큰 5가지 이유’라는 제목으로 이번 지진이 경주 지진보다 규모가 작은데 피해가 왜 큰지를 분석한 기사들을 내 놓았다. 그 중 눈에 띄는 이유 중 하나는 도심지역이냐 농촌지역이냐다. 이번 지진이 발생한 지역은 주로 사람이 많은 도심지역이고, 반면에 경주 지진은 주로 농촌지역에 발생했기 때문에 경주 때보다 이번에 인명과 시설 피해가 크다는 것이다.

그렇다. 지진이 발생하면 도심지역과 농촌지역의 피해규모의 차이도 있지만 피해 양상이 달라 대처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지진을 비롯한 다양한 자연재해 시 대비할 농촌지역에 맞는 대비책 마련이 필요한 이유다.

문재인 대통령도 대통령 되기 전인 2017년 1월 8일에 지진 피해를 입은 경주를 방문해서 간담회를 가진 적이 있다. 이때 농촌지역의 꼼꼼한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이야기 했다고 문재인 공식 블로그에서 밝히고 있다. “저희 양산집도 시골 집이라 허술한 집인데 이게 제가 집에 있어야 되나, 나가야 되나. ~도시지역 다르고, 농촌지역 다르고 그렇게 꼼꼼하게 좀 매뉴얼을 갖추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핵심 단어들은 ‘허술한 집’, ‘나가야 되나’, ‘농촌지역’, ‘메뉴얼’이다. 시골에 있는 부모, 형제, 친척들을 떠올려 보면 상황은 똑같다.

고령자 많은데다 주택 노후 심각

지진이 발생했을 때 농업·농촌은 주요 농업시설에 대한 대비와 이에 대한 패해 복구 중심으로 잘 대처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농민, 농촌주민, 농촌생활과 관련해서는 미흡한 게 아닌가 하는 걱정도 된다. 부처별 역할 분담에 따른 결과이기도 할 것이다.

지진 피해는 농촌지역에도 있는데 농민과 농촌주민에 대한 이야기가 너무 적으니 말이다. 이번 지진으로 농촌 어르신들을 걱정하는 한 방송 기사다. “시골 마을도 지진피해...복구 절실한 노인들”, 모든 관심이 피해가 큰 도심지역에 치우쳐 있을 때 우리 농촌에 어르신들은 이렇게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농촌지역이다 보니 피해 집계도 뒤늦게 이뤄지고, 신속한 지원도 잘 안된다’는 내용이다.

재해가 발생했을 때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에 대한 빠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농업계 나름의 대안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다. 인구밀도가 적은 농촌지역은 도시에 비해 피해 규모는 작겠지만 도시와는 다른 대처법이 필요할 것이다. 농촌지역은 고령화된 인구, 노후화된 농가주택이 많고, 농업시설물들이 많은 지역이기 때문이다.

고령자에 맞는 매뉴얼, 허술한 농가주택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해 보인다. 재해가 발생하면 젊은이든 나이 드신 분이든 빠른 대처가 쉽지 않다. 그렇지만 특히 고령자들은 재해가 발생하면 혼자서 감당하기에 너무나 버겁다. 그래서 농업인 교육이나 마을회관에서 모임이나 회의가 있을 때 재해에 따른 대처 요령 등을 함께 익히도록 해야 한다.

농촌형 대응매뉴얼 수립·보급을

허술한 농가주택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해야 한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자체가 공동으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농가주택이 많다. 이러한 주택에 사는 경우 대피 요령과 지진에 대비한 주택 안전 보강책도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우선적으로 대피소로 활용하게 될 마을회관이나 시골학교부터 안전 보강을 해야 할 것이다.

농촌지역에는 마을이 드문드문 있고, 농경지와 야산이 많아 지진을 포함한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도시와는 다른 양상의 피해가 발생한다. 이번 지진을 계기로 각종 재해에 대응해서 농촌 현실에 맞는 농촌형 매뉴얼이 꼼꼼하게 만들어지고, 농촌에서 잘 적용될 수 있도록 평소에 훈련을 해서, 농촌 주민들이 재해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면 좋겠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