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제4유형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베트남과 ‘행복한 미래’ 만들기
2753
기고자 허장
아주경제 기고 | 2018년 4월 4일
허 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글로벌협력연구본부장)


10여년 전 ‘뜨는 베트남’이라는 칼럼을 쓴 적이 있다. 뜬다고는 했지만 2006년 베트남은 우리나라 수출대상국 가운데 18위, 수입대상국에선 34위에 불과했다. 베트남 쪽에서 보면 한국이 전체 수입시장의 8.6% 정도였다.


문재인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에 즈음해 베트남과의 교역현황을 보면 ‘뜨는’ 차원을 넘어 이미 우리 곁에 바짝 다가와 있다.


2017년 수출액은 477억 달러로 중국, 미국 다음이다.


문 대통령은 하노이에서 2020년 양국 교역액이 10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선언했다.


베트남 수입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7년 22.1%로 급증했다. 한·베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 2015년 이전 2년과 이후 2년을 비교하면 수출은 60.5%, 수입은 61.1%가 늘었다. 2017년 무역수지 흑자만 해도 316억 달러에 이른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포스코·LG전자·두산중공업·코오롱인더스트리·금호타이어·오리온·이마트·CJ 등등 제조업, 서비스업(금융·식품)을 막론하고 대기업이 앞다투어 현지에 진출한 지 오래다.


수년 내 미국을 제치고 중국 다음 가는 수출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은 허황되지 않다.


농업분야에서도 베트남은 협력 확대의 주력국가다. 1억명에 가까운 인구가 한류와 박항서 감독, 한국 식품에 빠졌다.


모 언론은 베트남을 ‘남방의 큰 별’이라고 표현했다. 일본 내 일부 반한감정으로 김치·막걸리 수출이 4년 새 2억 달러가량 줄고, 중국 반부패 운동으로 인삼·심비디움의 수출이 급감하는 등 인접시장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베트남은 반가운 기회의 ‘별’이 아닐 수 없다.


2017년 우리나라의 베트남에 대한 농림축산물 수출은 전 세계 수출의 5.5%를 차지한다. 아세안으로 좁히면 10개국 전체의 31% 비중이며, 2위 태국의 두 배가 넘는다. 담배·음료·라면·인삼류·배 등이 수출 5대 품목이다.


베트남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우리 연구원의 설문조사를 보면 한층 희망적이다. 우리 농산물에 대한 인지도는 82.6%이며, ‘안전성이 높고 건강에 좋은 식품’이라는 점에는 40%가 공감한다.


한국산 농식품 재구입 의향도 높아 5점 만점에 3.92점이다. 그 이유로 ‘안전성’과 ‘건강에 도움’을 들었다.


글로벌 진출을 꾀하는 경우, 베트남 시장은 이제 필수다. 반도체의 대 베트남 수출액은 92억3000만 달러,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가 73억7000만 달러에 이른다. 아직 갈 길은 멀지만, 농산물의 수출 가능성도 매우 높다.


하지만 베트남을 단지 우리의 판매시장으로만 여겨서는 안 된다. 유효수요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기 위해서는 베트남 경제가 발전하고, 베트남 국민들이 골고루 잘 살아야 한다.


베트남은 고속성장에도 불구하고, 이제 막 최빈국을 탈피한 중저소득국 그룹에 속한다.  베트남은 그동안 우리 농식품부와 △씨감자 지원 △농촌공동체 개발 △채소 계약재배 등 개발협력사업을 진행해 왔다. 다른 개도국에 비해 성과가 매우 양호한 상황이다.


한국과 베트남의 교역확대가 양국의 경제발전과 관계 강화, 이를 통한 역내 평화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농업분야의 경우 △농식품 수출 △농기업 해외투자 확대와 함께 베트남의 수요를 고려한 개발협력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과거의 ‘불행한 역사’를 ‘행복한 미래’로 진화시키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