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제4유형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농업·농촌에 희망 일자리 펼쳐져 있다
5184
기고자 김창길
external_image 매일경제 기고 | 2019년 1월 22일
김 창 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장)



1970년대 중반 이후 연평균 3.7%씩 지속적으로 감소하던 농림어업 취업자 수가 2017년 3분기에 들어서면서 전년 동기 대비 지속적인 증가세로 돌아섰다. 2018년 농림어업 취업자는 134만명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해 전체 산업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우리 연구원에서 이 같은 고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취업자 수의 증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가장 큰 요인은 베이비부머(56~64세)와 청년층의 귀농·귀촌이 증가하는 사회적 현상과 농업법인 등 농업경영체가 늘어나는 농업의 구조적인 변화다.

여기에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의 추구, 청년들의 영농정착 지원을 비롯한 농정당국의 정책지원 등도 한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농업·농촌에 불고 있는 변화의 바람 속에서 우리 사회는 어떤 풍경을 맞이하고 있을까. 요즘 텔레비전을 틀면 `나는 자연인이다`를 비롯해 시골 생활을 소재로 한 프로그램을 많이 볼 수 있다. `리틀 포레스트` `파밍 보이즈` 등 영화는 물론, `버라이어티 파머` `농사직방` 등 인기 있는 유튜브 방송을 통해서도 농업·농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라곰(Lagom)`과 같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등장은 편안하고 소박한, 공동체와의 조화를 중시하는 삶에 대한 요구를 가져오기도 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농업과 농촌에 대한 관심도는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베이비부머들은 살기 좋은 자연 환경과 삶의 여유를 위해, 많은 젊은이들은 농업의 비전을 통한 밝은 미래를 위해 농촌으로 들어가 그들이 꿈꾸는 삶을 설계하고 하나하나 펼쳐가고 있다. 2017년도에 우리 연구원에서 국민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농촌 주민들의 만족도가 도시민들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동안 농업구조의 변화도 컸다. 2012년에 비해 2017년 영농조합법인이 32%, 농업회사법인은 177%나 늘어났다. 사업 범위가 가공과 유통, 서비스까지 확장되면서 농업 전후방 산업 일자리가 다수 창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농업법인 고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지난 한 해 동안 법인의 고용이 60.4% 늘어났으며, 그 이유는 매출 증가로 인한 사업영역 확대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제도적인 측면에서도 농업계에 새로운 희망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부터는 농식품부를 중심으로 청년들의 농업 부문 취업과 정착을 강화하기 위해 동물간호복지사, 양곡관리사, 산림레포츠지도사 등 신직종 자격증 제도를 도입한다. 관련된 고용을 제도화할 뿐 아니라 자격증 취득자에게는 채용 지원도 할 계획이기 때문에 취업의 폭이 넓어질 예정이다. 이 제도를 통해 청년들이 농업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주거와 문화, 보육 등 생활 인프라스트럭처를 갖춘 청년주거단지를 조성·운영함으로써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 창업농들의 자율적인 네트워크 조직도 활성화해 청년들이 농촌에 보다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부는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등 5000여 개의 농업부문 경제조직에 고용기회를 창출하고, 사회적 농업 실천 조직도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지원들은 우리 농업과 농촌이 희망 일자리로 채워질 수 있는 충분한 계기가 될 것이다. 


우리 연구원 분석 결과에 의하면 농수산업의 고용창출 인력은 매년 1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는 생산, 유통 부문을 넘어 서비스 및 가공 부문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농업과 농촌은 희망 일자리에 대한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으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살기 좋은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제 젊은이들이 농촌에 자연스럽게 유입돼 그들의 꿈을 펼치고 정착할 수 있도록 귀농 문턱을 낮추고,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더불어 베이비부머들을 비롯한 고령층과 중장년층이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며 농촌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정책 수립과 배려도 필요한 시점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