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농식품산업동향 

제4유형
  • 중국의 농산물 무역동향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정정길
    등록일
    2000.10.1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목차

    • 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EN">
      중국의 농산물 무역 동향



      중국은 개혁과 개방 정책을 표방한지 20년 만에
      GDP 규모로 볼 때 세계 7위의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했다. 경제발전과 더불어 농업도
      큰 성과를 거두었는데, 무엇보다 식량생산에서 20년간 60배 이상의 증산을 달성한
      것이 가장 두드러진다. 그 결과 1980년대 이래 농산물 교역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며, 무역수지도 대부분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우리나라의 대 중국 교역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 중국 전체무역수지는 계속 흑자를 유지해 왔으나
      농림축산물에서는 적자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규모는 차츰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WTO 가입이 실현되고 한·중간 농산물 교역은 더욱 증대될 것이므로 한·중간
      농산물 무역문제로 마찰이나 분쟁이 발생할 소지도 더 많다. 따라서 우리나라로서는
      대 중국 농산물 수출 증대 방안을 마련하고, 아울러 양국간 분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전에 교류협력을 강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1. 중국의 농산물 무역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50년 동안(1949-98) 중국경제는
      괄목할 만한 성장과 발전을 이룩하여 현재 GDP 세계 7위의 경제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98년 중국의 GDP는 9,589.9억 달러로 세계 전체 GDP의 3.4%를 차지한다. 그리고 98년
      기준 교역총액은 3,239억 달러로 세계 전체 교역액의 3.1%를 차지하며, 이중 수출이
      1,838억 달러이고 수입이 1,402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436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특히 90년대 들어서는 93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흑자를 기록하였고, 그 규모도 차츰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국의 농산물 무역 현황 설명에 앞서 우선 주요
      농산물 생산 현황을 살펴보면, 곡물을 비롯하여 유채, 면화, 땅콩, 찻잎, 육류는
      세계 총생산량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외 대두, 과일, 양모
      등도 약 10%의 점유율을 나타낸다.
      표 1 중국의 주요 농산물 생산량 및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1998)

      단위 : 만톤
      세계
      중국
      비율(%)
      곡 물
      대 두
      유 채
      면 화
      땅 콩
      황 마
      사탕수수
      차 잎
      육 류
      과 일
      사탕무우
      담 배 잎
      우 유
      양 모
      205437
      15833
      3357
      1826
      3097
      360
      125227
      296
      21620
      50020
      25886
      706
      46635
      244
      45625
      1515
      830
      450
      1189
      25
      8344
      67
      5724
      5453
      1447
      236
      0
      31
      22.2
      9.6
      24.7
      24.6
      38.4
      6.9
      6.7
      22.6
      26.5
      10.9
      5.6
      33.4
      _
      12.7

      중국은 인구가 12억 5천만으로 세계 인구의 24.3%를
      차지하는 인구대국이다. 따라서 중국농산물의 주요시장은 국내시장이다. 이는 두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데, 첫째, 국내수요는 주로 국내 수매에 의존하며, 둘째, 농산물의
      주요 판로 역시 국내에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 품목, 지역, 연도의 경우 국제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영향력을 나타낸다.
      개혁·개방 정책 도입에 따라 80년대 이래 농산물 수출입 총액이
      계속 증가하여 왔다. 중국의 농산물 무역의 주요 특징은 첫째, 농산물 수출과 수입의
      증가 속도가 국가 총수출과 수입의 증가 속도에 비해 낮다. 80년부터 98년까지 18년간
      10배 이상 증가하여 연평균 성장률이 5.6%에 이르나, 농산물 수출은 3.3배 증가하여
      연평균 2.9%의 성장률을 보였다. 한편 총수입액은 이 기간에 7배 증가하여 연평균
      성장률은 4.7%를 보인 반면, 농산물 수입은 약2배 증가하여 연평균 성장률이 1.6%에
      불과하였다.
      둘째, 농산물 교역액이 전체교역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전체교역중 농산물 교역액 비중을 살펴보면, 수출의
      경우 80년에 농산물 수출이 전체수출의 24.1%를 차지하였으나 차츰 하락하여 95년에는
      10.6%, 그리고 98년에는 8.0%까지 감소하였다. 수입의 경우 80년 농산물 수입이 전체수입의
      31.1%를 차지하였으나 차츰 하락하여 1995년에는 10%이하로 줄어들었고, 98년에는
      8.5%로 감소하였다.
      한편 무역수지 측면에서 보면, 80년대에는 82년과
      83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90년부터 흑자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농산물 무역은 몇 개 연도 외에는 대체로 매년 25억 달러 정도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주요 수출농산물로는 쌀, 옥수수, 대두 등
      식량과, 땅콩, 오렌지, 사과 등 과일류, 쇠고기, 돼지고지, 냉동닭 등이 있다. 그리고
      주요 수입농산물로는 식용유, 기타 식물유, 밀, 밀가루, 설탕, 배합동물사료 및 쌀,
      옥수수 등이 있다. 금액면에서 가장 많은 품목은 수출의 경우 옥수수와 쌀이며, 수입은
      식용유와 밀이다.
      표 2 중국의 농산물 수출입 추이
      단위 : 백만달러
      연도
      총수출
      농산물 수출
      총수입
      농산물 수입
      무역수지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전체
      농산물
      1980
      1985
      1990
      1995
      1997
      1998
      18,119
      27,350
      62,091
      148,780
      182,790
      183,760
      4,370
      6,220
      9,920
      15,740
      14,850
      14,320
      24.1
      22.7
      16.0
      10.6
      8.1
      8.0
      20,017
      42,252
      53,345
      132,084
      142,370
      140,170
      6,220
      4,290
      7,240
      12,930
      12,310
      11,880
      31.1
      10.2
      13.6
      9.8
      8.6
      8.5
      -1,898
      -14,902
      8,746
      16,696
      40,420
      43,590
      -1850
      1930
      2680
      2810
      2540
      2440

      2. 농업자재 무역동향
      중국은 농기자재 중 트랙터와 농약은 순수출국이나
      비료는 순수입국 입장이다. 특히 비료는 최근 3년간 매년 30억 달러이상을 수입하여
      왔으며 현재 트랙터를 비롯한 농기계의 보급률이 높지 않은 상황이므로 수출보다는
      수입이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주요 농기자재 수급동향을 살펴보면, 화학비료와
      농약 모두 생산량과 사용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화학비료의 경우 최근 몇 년간
      연평균 생산량은 2,500∼2,900만 톤이고 사용량은 3,600∼4,000만 톤이며 매년 약
      1,600∼2,000만 톤(실중량) 가량을 수입하고 있다. 농약도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수입량도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한중간 교류협력 강화 분야로
      농산물 및 농기자재 교역 증대를 들 수 있고, 농기자재의 공동생산을 위한 합작투자도
      실현 가능성이 높은 부문이라고 할 수 있다.
      표 3 중국의 주요 농기자재 수급현황
      단위 : 만톤
      연도
      화학비료
      농약
      생산량
      (성분량)
      사용량
      (성분량)
      수입량
      (실중량)
      생산량
      사용량
      수입량
      1981
      1985
      1991
      1995
      1996
      1997
      1239
      1322
      1980
      2548
      2809
      2911
      1335
      1776
      2805
      3594
      3828
      3981
      555
      761
      1818
      1991
      1857
      1649
      48.4
      21.1
      25.5
      41.7
      44.8
      55.2
      76.1
      108.7
      114.1
      119.5
      1.7
      1.6
      3.2
      3.4
      3.2
      4.9

      표4 중국의 주요 농기자재 수출입 실적
      단위 : 만$
      연도
      트랙터
      비료
      농약
      천연비료
      화학비료
      수입
      1995
      1996
      1997
      58,969
      47,874
      43,392
      36,572
      47,870
      29,778
      383,985
      366,206
      310,668
      31,932
      29,643
      32,124
      수출
      1995
      1996
      1997
      70,679
      60,210
      58,447
      42,635
      586
      374
      14,646
      20,326
      22,004
      28,184
      32,117
      35,957
      무역수지
      1995
      1996
      1997
      11,710
      12,336
      15,055
      6,063
      -47,284
      -29,404
      -369,339
      -345,880
      -288,664
      -3,748
      2,474
      3,833

      3. 한중간 농산물 및 농업자재의 교역전망
      92년 한·중 수교 이후 우리나라의 대 중국 교역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이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교역에서 큰 폭의 흑자를 달성하고
      있으므로 중국이야말로 중요한 교역대상국이다. 중국은 한국의 3대무역국이고 한국은
      중국의 5대 무역국으로서, 99년 한국의 대 중국 교역액은 우리나라 총교역액의 8.6%에
      해당하는 225억 5,200만 달러이다. 이중 수출총액은 136억 8,500만 달러인데 농림산물은
      9,050만 달러로 0.7%에 불과하다. 반면에 수입총액은 88억 6,700만 달러, 농림산물이
      7억 8,030만 달러로 8.8%를 차지하고 있다.
      즉 1993년 이후 우리나라의 대 중국 총 무역수지는
      계속 흑자를 유지하여 왔으나 농림축산물에서는 적자를 나타내고 있다. 99년 대 중국
      전체 무역수지는 48억 1,800만 달러의 흑자이나 농림산물 무역수지는 6억 8,980만
      달러의 적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UR 이후 우리나라의 농산물 시장 개방이
      더욱 확대됨과 때를 같이하여 중국산 농산물의 수입이 급증한데 기인된다.
      우리나라가 중국에서 수입하는 주요 품목은 땅콩,
      참깨, 들깨 등 유지작물, 쌀, 옥수수 등 곡물, 녹두, 팥 등 두류, 고추, 마늘, 파,
      양파 등 양념채소류, 사료용 박류, 고사리, 더덕, 한약재 등이며, 수출 품목에는
      자당, 담배, 밤, 껌, 홍삼, 목재(합판), 라면 등 가공농산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농산물은 가격이 저렴한 저품질 농산물이 대부분이어서 국내
      농산물 시장을 교란시키고 있다. 또한 종류가 다양하고 품목에 따라서는 수량도 적지
      않아 국내 농산물 가격을 떨어드리고 나아가 국내 생산농가에 손해를 입히고 있다.
      표 5 한국의 대 중국 교역현황
      단위 : 백만$
      1995
      1996
      1997
      1998(A)
      1999(B)
      증감률
      A/B(%)
      수출
      국가전체
      9,144
      11,377
      13,572
      11,944
      13,658
      12.0
      농림산물
      95.3
      88.0
      85.7
      115.4
      90.5
      34.7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44.9
      1.1
      49.3
      27.0
      0.7
      60.3
      47.0
      1.5
      37.2
      39.5
      40.0
      35.9
      37.9
      3.1
      49.5
      △16.0
      2.1
      △3.5
      수입
      국가전체
      7,401
      8,539
      10,117
      6,484
      8,867
      △35.9
      농림산물
      637.2
      818.6
      1,275.1
      774.3
      780.3
      △39.3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412.5
      35.2
      189.5
      531.6
      40.8
      246.2
      934.9
      46.4
      293.8
      623.9
      11.8
      138.6
      551.6
      15.1
      213.7
      △33.3
      △74.6
      △52.8
      무역수지
      국가전체
      농림산물
      1,743
      △541.9
      2,838
      △730.6
      3455
      △1189.4
      5460
      △658.9
      4,818
      -689.8
      58.0
      44.6

      그러나 한·중 양국간의 농산물 교역 증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중국의 WTO 가입이 실현되고 나면 교역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우리나라로서는 대 중국 농산물 수출 증대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양국이 상호보완적인 품목에 대하여 상대국 농산물 수입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매년 한중 양국은 상호간
      농업발전과 농업 분야 협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정부 차원 한·중농수산협력위원회를
      개최하고 있으므로 중요한 사안은 이 위원회를 통해서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중간 농산물 무역문제로 마찰이나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교류협력을 강화해 나아가야 하며, 중국이 WTO에 가입하고
      나면 차기 농산물 협상 등 국제무대에서 양국이 협력해야 할 사항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정길 cgchung@krei.re.kr 북한농업연구센터)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정정길 이미지

    저자소개
    정정길
    - 위촉전문연구원
    - 소속 : 휴직 등 기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836 0 183 0 0
  • 다음글 중국의 주요 농산물 수급현황
  • 이전글 뉴질랜드의 농산물 무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