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 농업 브리핑 

제4유형
세계 농업 브리핑 상세보기 - 제목, 내용, 게시일 정보 제공
호주, 사료첨가제 시장
2099



원문작성일: 2019.6.14.
원문작성자: 대한투자무역진흥공사



호주 가축사료(stock feed)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22억 오스트레일리아 달러로 향후 5년 간 연평균 4.5%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호주에는 약 150개의 사료제조사가 있으며 영양공급과 질병예방을 위해 각종 프로틴, 미네랄, 비타민 등의 사료첨가제를 해외에서 수입하여 배합함.

대부분의 사료 제조기업에는 자격증을 보유한 영양사가 생산 프로세스 관리하고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사료를 만들기 위해 사료첨가제 및 R&D에 많은 자금을 투자하는 추세임.

사료첨가제의 주요 소비층은 소, 양, 말, 돼지 등을 사육하는 현지 농장임. 세계적인 육류 수출국인 호주를 책임지는 대표적인 축산 동물은 소와 양에 해당, 현지 목장의 절반 이상인 55%는 소를 키우는 농장으로 총 2,850만 마리 이상의 소가 사육되고 있으며 양의 경우 호주 전역의 4만 2,000개 이상의 양 농장에서 약 7,300만 마리의 양을 키우고 있음.

특히 전체 소 농장 중 육류용 소(beef cattle)가 차지하는 비율이 90%이며 유제품용 소(dairy cattle)는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수는 적지만 아시아 시장에서 호주산 유제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사료첨가제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전망임.

양고기용과 울(wool) 생산용 양의 수가 증가하고 농장에서 사료를 주는 것을 선호하여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임.

가금류(poultry) 및 돼지(pig) 농장은 각각 3%대로 점유율 면에서는 낮으나 좋은 품질의 육류 생산을 위해 사료첨가제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강수량이 적을수록 농장에서는 목초 대신 사료에 의존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료첨가제를 구매하는 비율도 높아짐.
실제로 2012년 강수량이 평소에 비해 30% 감소하면서, 그 해 사료 매출이 전년대비 11% 이상 증가한 반면, 2017년에는 비가 많이 내리면서 목초지가 풍부해져 수익이 9%가 낮아짐.

호주의 전체 수입액은 2017년 1억 5,352만 달러에서 2018년에는 2,882만 달러가 상승하며 약 19%의 증가율을 나타냄.지난 3년 간 영국에서의 수입량이 가장 많았으며 2018년에는 6,558만 달러로 2위 수입국인 미국의 3,127만 달러보다 2배 이상 높음.

주요 수입국 10위에는 영국, 미국, 프랑스, 중국, 핀란드, 싱가포르, 브라질, 스위스, 네덜란드, 베트남이 포함되며 중국, 브라질을 제외하고 전년대비 수입액이 전반적으로 상승함.


호주 시장에서 사료첨가제는 전문 유통사를 통해 수입되거나 사료 제조사, 농장으로 유통됨. 사료첨가제 전문 유통사로는 Auspac Ingredients(www.auspacingredients.com.au), Feedworks(www.feedworks.com.au), National Feed Solutions(www.nationalfeedsolutions.com.au) 등이 있으며 모두 호주 사료 성분 및 첨가제 협회인 Feed Ingredients and Additives Association of Australia(FIAAA) 가입된 업체임.

현지 사료제조사 중에서는 Ridley Corporation(40.4%), Riverina(26.6%), Inghams Group(6.8%) 3개 사가 전체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음.

대규모로 사료를 생산하는 기업에서 가격경쟁력과 우수한 품질,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앞세워 시장을 점유하고 있어 중소기업에서는 전문성을 키우고 제품을 현지화 시켜 틈새 마켓을 공략할 필요가 있음.

호주 시장에는 현지 기업을 비롯하여 해외에서 진출한 다수의 사료첨가제 업체가 경쟁함.


자료: IBIS World Australia, Global Trade Atlas, Feed Ingredients and Additives Association of Australia, Stock Feed Manufacturers’ Council of Australia 등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