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우회 소식 

제4유형
농경나눔터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농경나눔터 3.4월호-농정시선] 스마트 농촌 - 살기 좋은, 살고 싶은, 농촌!
1232

스마트 농촌 - 살기 좋은, 살고 싶은, 농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대석 연구위원


 ‘농촌’ 하면 떠오르는 것은 가장 먼저 ‘정’, ‘천혜의 자연’과 ‘여유’ 등일 것이다. 많은 이들의 고향이고 돌아가고 싶은 곳이면서 안정과 편안함으로 다가오는 공간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막상 그 곳에 살고 있는 분들이나 도시민에게 ‘농촌에 사는 것이 어떠냐?’ 물으면 대부분 농촌 생활의 번거로움과 불편함 등 생활환경의 어려움을 제일 먼저 말한다. 다시 말해 농촌의 자연적, 문화적, 정서적 혜택과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 곳 생활환경의 편리성의 한계로 인해 생활 만족도가 낮다는 것이 많은 설문조사의 결과이고 많은 이들의 인식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4차산업혁명 기술을 통해 농촌지역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일부나마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 볼 수 있다. 즉, 4차산업혁명의 기반 기술인 ICBM(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iting), 빅데이터(Bigdata), 모바일(Mobile))을 생활환경 불편요소에 활용함으로써 개선방안을 찾는 것이다. 특히,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농촌지역 복지 및 의료, 교육, 에너지, 안전과 정주생활 등 7대 주요 정책 부문에 대해 첨단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농촌을 그려보자.

 먼저 농촌지역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우수한 교사의 부족과 교육 인프라에 대한 낮은 접근성이다. 이의 대안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육 컨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가상증강현실(VR/AR)을 활용하는 등 스마트 교육을 접목하는 대안을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시·적소에 접근해야 하는 교육 인프라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농촌 주민의 교양, 기술교육 등 평생학습도 가능하다.

 농촌지역의 교통, 특히 대중교통은 수요 감소, 공급 주기 축소, 수요자 감소 확대 등으로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농촌지역은 가구원 수만큼 차량을 소유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과, 농기계를 농작업 이외 이동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농업인 안전 문제도 대두된다. 이를 위해 자율주행과 공유형 대중교통 체계 시너지 효과를 통해 농촌지역 교통의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즉, 수요가 적고 인력난과 경영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촌지역에 독일과 일본의 사례를 활용한 자율주행 미니버스 근거리 교통수단을 도입해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앱 등을 활용한 카셰어링·라이드셰어링 등도 적극 검토해 볼 수 있다.
 농촌지역 의료와 복지 부문 역시 의료진 및 의료기관의 접근성과 신속성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 따라서 농촌지역 의료서비스 개선의 화두는 원격의료시스템 도입의 적극 검토가 필요하다. 생체정보 측정 및 화상 장비 등을 통해 환자의 문진과 원격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처방과 진단 내역을 전달할 수 있는 체계이다. 또한 스마트 의료장비를 갖추고 전문 의료진이 있는 이동형 ‘스마트병원’을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농촌지역, 중소도시와 대도시 등의 의료체계 연계는 필수적 요소이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와 센서를 활용한 ‘응급돌보미’ 서비스와 정서적 안정과 의사소통을 위한 ‘돌봄로봇’ 보급 확대도 필요하다.

 웨어러블 기기와 센서 및 AI 등을 활용하면 농촌지역 주민과 지역 안전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 나홀로 작업하게 되는 농촌지역 고령 농업인과 주민의 특성에 맞춰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생체정보 모니터렁 및 긴급 상황 알리미 서비스를 도입하고, 주요지역 스마트 CCTV와 재난·재해 감시 및 사전 경고 AI 시스템, 농촌도로 스마트 안전 표지판 등을 활용한 생활안전 강화도 필요하다.
 농촌지역에서의 문화와 여가 생활 및 에너지 부문에서는 첨단기술 접목을 통해 수요자 및 수익성을 고려한 공급자 역할 모두가 가능하다. 농촌 지역 문화와 여가생활의 어려움 역시 콘텐츠에 대한 물리적 한계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농촌주민의 니즈를 반영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교육 부문에서와 같이 가상·증강현실을 활용할 수 있는 공동 플랫폼의 개발과 보급 확대가 필요하며 이용과 사용을 위해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농촌 복지 차원의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농업·농촌의 공간과 자연 환경을 활용한 도시민 수요자 맞춤형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개발과 사업화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방안도 검토해 불 수 있다. 또한 농업·농촌 자원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스마트 그리드를 통해 소비 후 잉여 에너지를 수익화할 수 있는 사업화 방안도 있다.
 이와 같은 방안들이 구체화되고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방대한 4차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구축과 R&D를 위해 민간부문의 적극적인 참여와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이를 위한 정부의 체계적 지원도 요구된다. 따라서 정부와 민간부문의 적극적인 제도와 법률적 정비 및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범정부적인 연계와 협력을 통해 스마트 농촌은 구현될 수 있다.


<농경나눔터 2020년 3.4월호 – 농정시선>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