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연구원 소식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보도] 코로나19로 식품산업 변화 가속화, 신식품 통계 구축 시급
8035
원문

“코로나19로 식품산업 변화 가속화, 신식품 통계 구축 시급”
  ‘식품산업 변화에 대응한 식품통계의 효율적 구축 방안’ 연구 통해 밝혀


코로나19로 식품산업의 변화 속도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통계 기반이 미약해 변화하는 식품에 대한 통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식품산업 변화에 대응한 식품통계의 효율적 구축 방안’연구를 통해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식품제조업에 초점을 맞춰 식품통계의 현황을 진단하고, 식품산업 변화에 대응한 통계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식품산업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2018년 식품제조업 출하액(종사자 10인 이상)은 92조 원으로 2007년 이후 연평균 6.1% 증가 추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제조업의 업종별 출하액은 기타 식품제조업의 출하액이 전체의 31.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식품산업 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 기타식품제조업에는 다양한 식품분야가 포함되어 있으나 5대 유망식품과 같은 신식품을 구분할 수 없었다.


5대 유망식품은 정부가 2019년 발표한 유망 분야로 △ 메디푸드, 고령친화식품, 대체식품, 펫푸드 등 맞춤형·특수식품 △ 기능성 식품 △ 간편식품(밀키트 포함) △ 친환경식품 △ 수출식품이다.


이에 대해 연구책임자인 박미성 연구위원은 “정부가 식품산업 여건 변화에 따라 5대 유망식품 육성을 통한 식품산업 활력 대책을 발표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통계기반이 미약하고 관련 통계도 시의성과 구체성이 떨어져 정책활용도가 낮은 편”이라며, “식품산업을 둘러싼 여건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신식품에 대한 통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식품 통계 수요조사 결과, 간편식(밀키트 포함), 기능성식품, 고령친화식품, 메디푸드, 대체식품, 펫푸드 순서로 통계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유형별 통계 이용 목적과 요구도에서 차이가 나지만, 대부분 세부 업종 및 품목의 시장규모 파악을 위한 통계정보 요구도가 높았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춰 정부도 식품 등의 성분 규격과 제조·가공·조리 등에 관한 기준을 고시한 ‘식품공전’에 최근 수요를 반영해 밀키트(2021년 8월부터)와 고령친화식품·메디푸드(특수의료용도식품)(2022년 8월부터)의 생산액 및 매출액 통계를 발표할 계획이다.


식품산업 통계 이용 시 통계 생산 방식 및 활용, 통계분류체계, 신규통계 부족, 통계 관리 및 정책 등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 생산 방식 및 활용 측면에서는 통계정보 제공범위 제한 및 자료 부족, 통계의 긴 작성주기 및 시의성 부족, 통계정보 제공처 및 위치 파악 어려움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통계분류체계 측면에서는 식품제조업 통계분류가 세분화되어 있지 않으며, 유사 통계 간 분류체계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규 통계 측면에서는 식품산업 여건 변화를 반영한 신규 식품에 대한 통계 생산이 부족하며, 통계 관리 및 정책 측면에서는 식품정책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가 생산하는 통계량 및 종류가 적고 인사이동으로 통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식품산업 통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식품통계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추진전략을 제안했다. 이용자 입장에서 기존 생산 통계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기존 통계를 재정비하는 전략과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강화하는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식품산업 변화에 대응한 통계 기반 구축을 위해 통계분류체계를 재정비하는 전략과 민관거버넌스체계 구축을 통한 통계 확충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보고서 보러가기

작성자 성과확산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