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곡물 동향 및 정책

제목 2024년 4월 USDA 세계 곡물 수급 전망 날짜 24-04-12 15:16 조회수 201 작성자 김현정

USDA 2023/24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 2023/24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 공급량, 소비량, 교역량은 증가한 반면, 재고량은 감소 전망

 미국 농무부(USDA)는 2023/24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이 28억 802만 톤으로 전년 대비 2.12%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전체 곡물 공급량은 전년 대비 1.27% 증가한 35억 8,933만 톤, 소비량은 전년 대비 1.86% 증가한 28억 1,433만 톤, 교역량은 전년 대비 2.70% 증가한 5억 784만 톤, 기말재고량은 7억 7,499만 톤으로 전년 대비 0.8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말재고율은 전년 대비 0.74%p 감소한 27.5%가 될 전망이다.


※ 2023/24년도 밀 생산량, 공급량, 교역량, 재고량은 감소한 반면, 소비량은 증가 전망

 세계 밀 생산량은 7억 8,736만 톤으로 전년 대비 0.2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공급량은 전년 대비 0.34% 감소한 10억 5,837만 톤, 소비량은 전년 대비 1.15% 증가한 8억 10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교역량은 전년 대비 3.04% 감소한 2억 1,347만 톤으로 전망되었고,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4.70% 감소한 2억 5,827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기말재고율은 전년 대비 1.98%p 감소한 32.3%가 될 전망이다.


※ 2023/24년도 쌀 생산량 및 소비량은 증가한 반면, 공급량, 교역량, 재고량은 감소 전망

 세계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0.22% 증가한 5억 1,553만 톤으로 전망되었고 공급량은 전년 대비 0.59% 감소한 6억 9,350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소비량은 전년 대비 0.33% 증가한 5억 2,135만 톤으로 전망되었고, 교역량은 전년 대비 2.09% 감소한 5,294만 톤,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3.27% 감소한 1억 7,215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기말재고율은 전년 대비 1.23%p 감소한 33.0%가 될 전망이다.


※ 2023/24년도 옥수수 생산량, 공급량, 소비량, 교역량, 재고량 모두 증가 전망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전년 대비 6.06% 증가한 12억 2,786만 톤, 공급량은 전년 대비 4.89% 증가한 14억 1,236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소비량은 전년 대비 3.90% 증가한 12억 1,177만 톤으로 전망되었으며, 교역량 또한 전년 대비 11.30% 증가한 2억 59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5.32% 증가한 3억 1,828만 톤으로 전망되었으며, 기말재고율은 전년 대비 0.36%p 증가한 26.3%가 될 전망이다.


※ 2023/24년도 대두 생산량, 공급량, 소비량, 교역량, 재고량 모두 증가 전망

 세계 대두 생산량은 3억 9,673톤으로 전년 대비 4.90% 증가, 공급량은 5억 5,414만 톤으로 전년 대비 3.03% 증가, 소비량은 전년 대비 4.19% 증가한 3억 8,108만 톤, 교역량은 전년 대비 0.56% 증가한 1억 7,306만 톤,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12.74% 증가한 1억 1,422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기말재고율은 전년보다 2.27%p 증가한 30.0%가 될 전망이다.




첨부파일 첨부파일 : USDA국제곡물_월간보고_240411.pdf
이전글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