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곡물이사회(IGC) 보고서에 따르면, 2011/12년도 세계 밀가루 교역량은 전년대비 77만 톤 증가한 1,270만 톤으로 전망된다. 우즈베키스탄과 이라크의 2011/12년도 밀가루 수입량은 각각 150만 톤, 130만 톤으로 전년대비 10만 톤, 20만 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예멘, 북한, 베트남, 앙골라, 소말리아 등 국가들의 밀가루 수입량도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밀가루 수출량이 가장 많은 카자흐스탄과 터키의 2011/12년도 밀가루 수출량도 각각 330만 톤, 270만 톤으로 전년대비 30.6%, 14.6% 증가할 전망이다.
<2008/09-2011/12년도 세계 밀가루 교역량 전망(단위: 천 톤)>
국가 2008/09년 2009/10년 2010/11년(추정) 2011/12년(전망) 수출 세계 12,331 12,685 11,930 12,700 아르헨티나 1,368 1,278 1,286 1,300 호주 185 150 100 100 캐나다 223 262 225 200 EU(TPA 제외) 1,482 1,245 1,155 1,300 카자흐스탄 2,733 3,514 2,526 3,300 러시아 665 381 570 400 우크라이나 309 165 122 200 미국 388 545 406 450 중국 214 388 417 400 일본 245 269 267 300 파키스탄 500 300 900 400 터키 2,161 2,602 2,356 2,700 UAE 650 550 500 760 기타 1,207 1,034 1,102 890 수입 세계 12,331 12,685 11,930 12,700 유럽 102 68 90 80 CIS 2,447 2,239 2,450 2,580 북/중앙아메리카 718 618 620 660 남아메리카 1,358 1,298 1,300 1,310 동아시아 5,105 5,955 5,260 5,390 아프리카 2,186 1,872 1,760 2,130 오세아니아 61 67 70 90 기타 854 568 380 460
자료: IGC, Market Focus, GMR 419, May 24,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