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해외곡물 동향 및 정책

품목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해외곡물시장 동향 제3권 제7호)

2014.07.24
1437

 

< 요 약 > 

 

세계 곡물 생산량은 주요 생산국의 기상 여건 호조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전년 이상의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쌀의 경우 전년에 비해 생산량은 소폭 증가함에 반해, 수출량 증가로 상쇄되어 기말 재고량은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밀의 경우 전년에 비해 생산량은 소폭 감소하나, 교역량의 감소세가 더 커 기말 재고량은 오히려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밀과 같이 옥수수의 경우도 전년에 비해 생산량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교역량 감소세가 더 커 기말 재고량은 오히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두의 경우 전년에 비해 교역량 증가보다 생산량이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량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1-1_품목별_곡물_수급_동향과_전망.pdf

다음글
주요 곡물생산국의 농업기상 현황(해외곡물시장 동향 제3권 제8호)
이전글
곡물 선물 6월 동향과 7월 전망(해외곡물시장 동향 제3권 제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