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해외곡물 동향 및 정책

품목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해외곡물시장 동향 제3권 제8호)

2014.08.25
1636

 

< 요 약 >

 

전 세계적으로 양호한 기상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세계 곡물 생산량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교역량 감소로 인하여 기말 재고율이 높은 수준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쌀의 경우 전년에 비해 생산량은 소폭 증가함에 반해, 교역량 증가로 상쇄되어 기말 재고량은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밀의 경우 전년에 비해 생산량은 소폭 증가함에 반해, 교역량의 감소세가 더 커 기말 재고량의 증가폭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옥수수의 경우도 전년에 비해 생산량은 소폭 증가함에 반해, 교역량의 감소세가 더 커 기말 재고량의 증가폭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두의 경우 교역량 증가보다 생산량의 증가폭이 더 커, 기말 재고량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1_품목별_곡물_수급_동향과_전망.pdf

다음글
주요 곡물생산국의 농업기상 현황(해외곡물시장 동향 제3권 제9호)
이전글
곡물 선물 7월 동향과 8월 전망(해외곡물시장 동향 제3권 제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