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해외곡물 동향 및 정책

2025년 8월 USDA 세계 곡물 수급 전망

2025.08.14
72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USDA 2025/26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USDA, WASDE-663)


※ 2025/26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 공급량, 소비량, 교역량은 증가한 반면, 재고량은 감소 전망

 미국 농무부(USDA)는 2025/26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이 29억 2,035만 톤으로 전년 대비 2.5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전체 곡물 공급량은 전년 대비 1.05% 증가한 36억 8,202만 톤, 소비량은 전년 대비 1.51% 증가한 29억 2,554만 톤, 교역량은 전년 대비 3.44% 증가한 5억 1,843만 톤, 기말재고량은 7억 5,648만 톤으로 전년 대비 0.6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말 재고율은 전년 대비 0.57%p 감소한 25.9%가 될 전망이다.


※ 2025/26년도 밀 생산량, 소비량, 교역량은 증가한 반면, 공급량, 재고량은 감소 전망

 세계 밀 생산량은 8억 690만 톤으로 전년 대비 0.8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공급량은 전년 대비 0.02% 감소한 10억 6,960만 톤, 소비량은 전년 대비 0.30% 증가한 8억 953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교역량은 전년 대비 3.12% 증가한 2억 1,353만 톤으로 전망되었고,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1.00% 감소한 2억 6,008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기말 재고율은 전년 대비 0.42%p 감소한 32.1%가 될 전망이다.


※ 2025/26년도 쌀 생산량, 공급량, 소비량, 교역량은 증가한 반면, 재고량은 감소 전망

 세계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0.12% 증가한 5억 4,146만 톤으로 전망되었고 공급량은 전년 대비 1.19% 증가한 7억 2,867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소비량은 전년 대비 1.70% 증가한 5억 4,197만 톤으로 전망되었고, 교역량은 전년 대비 0.36% 증가한 6,211만 톤,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0.28% 감소한 1억 8,670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기말 재고율은 전년 대비 0.68%p 감소한 34.4%가 될 전망이다.


※ 2025/26년도 옥수수 생산량, 공급량, 소비량, 교역량은 증가한 반면, 재고량은 감소 전망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전년 대비 5.10% 증가한 12억 8,858만 톤, 공급량은 전년 대비 1.23% 증가한 15억 6,066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소비량은 전년 대비 2.43% 증가한 12억 8,915만 톤으로 전망되었으며, 교역량은 전년 대비 3.73% 증가한 2억 86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0.20% 감소한 2억 8,254만 톤으로 전망되었으며, 기말 재고율은 전년 대비 0.58%p 감소한 21.9%가 될 전망이다.


※ 2025/26년도 대두 생산량, 공급량, 소비량, 교역량은 증가한 반면, 재고량은 감소 전망

 세계 대두 생산량은 4억 2,639만 톤으로 전년 대비 0.57% 증가, 공급량은 5억 5,246만 톤으로 전년 대비 2.44% 증가, 소비량은 전년 대비 3.51% 증가한 4억 2,510만 톤, 교역량은 전년 대비 3.13% 증가한 1억 8,744만 톤,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0.23% 감소한 1억 2,490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기말 재고율은 전년보다 1.10%p 감소한 29.4%가 될 전망이다.

이전글
2025년 7월 USDA 세계 곡물 수급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