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농촌재생 키워드 연구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농촌재생 키워드 연구

    저자
    최문형
    등록일
    2021.12.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농촌재생에 대한 논의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농촌지역은 인구유출, 고령화, 기반시설 노후화 등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농촌재생이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농촌재생에 대한 정책적․실무적 차원의 관심 및 논의에 비해 학술적 차원에서의 접근은 부족한 실정이다. 농촌지역, 특히 농촌재생을 둘러싼 이슈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파악과 정책적 대안마련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농촌재생과 관련해 어떠한 이슈가 공유되고 있는지를 탐...

  • 목차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분석 결과
      5. 결론

    요약문

    농촌재생에 대한 논의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농촌지역은 인구유출, 고령화, 기반시설 노후화 등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농촌재생이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농촌재생에 대한 정책적․실무적 차원의 관심 및 논의에 비해 학술적 차원에서의 접근은 부족한 실정이다. 농촌지역, 특히 농촌재생을 둘러싼 이슈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파악과 정책적 대안마련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농촌재생과 관련해 어떠한 이슈가 공유되고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16년에 비해 2020년 일부 키워드 및 군집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농촌재생정책과 관련 사업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키워드, 여러 유관기관의 협업 및 신규사업 관련 키워드 등이 빈도수가 증가하거나 군집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재생 관련 키워드의 변화 흐름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정책적․학술적 논의의 방향성을 타진하는데 일부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discussions on rural regeneration have been incresed. Recently, rural areas have suffered from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outflow of the working-population, population aging, and old aging infrastructures. As a result, rural regeneration has emerged as an urgent social issue. However, academic approaches to rural regeneration are relatively less active than in urban revitalization. Some previous research papers have pointed out these problems and called mentioned the need for rural regeneration. However,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studi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discussions related to rural regeneration and the issues addressed importantly. This analysis identifies changes between 2016 and 2020. In 2016, the keywords related to the government's rural revitalization project and renewable energy project mainly appeared in the area of rural regeneration. However, in 2020, the keywords related to self-sustaining economic growth and self-reliance in rural areas became important. Of course, the role of government in rural regeneration remains an important issue. At the same time, the roles of rural areas and residents are emerging as a new essential issue.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최문형 (Choi, Moonhyeong)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최문형 (Choi, Moonhyeong)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0466 0 190 0 0
    •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채홍기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용희원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권오상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홍연아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승준호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민선형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이정민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수입곡물의 물가영향 및 공급지장효과 분석

      수입곡물의 물가영향 및 공급지장효과 분석
      이용건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건강식품과 인삼·홍삼제품의 소비의향 및 소비행위 요인 분석

      건강식품과 인삼·홍삼제품의 소비의향 및 소비행위 요인 분석
      주종윤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공공급식 자기부담금이 친환경/지역산 식재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공공급식 자기부담금이 친환경/지역산 식재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홍연아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식품 수출업체의 온라인 수출 참여 및 투자의향 요인 분석
  • 이전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의한 소비자의 유기농식품 지불의사가격 변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