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음식료품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효율성 연구
  • 
						    음식료품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효율성 연구

    저자
    강효녕 , 서동희
    등록일
    2022.03.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본 연구는 음식료품 제조업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효율성과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을 추정하여 음식료품 제조업의 온실가스배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2011~2020년 19개 음식료품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배출효율성의 변화를 가정한 확률변경모형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료품 제조업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효율성은 0.85로 상대적으로 높은 온실가스 배출효율성을 보였다. 둘째, 시간에 따른 음식료품 제조업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효율성은 2011년 0.77에서 2020년 0.91로 향상되었...

  • 목차

    •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및 분석 자료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요약문

    본 연구는 음식료품 제조업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효율성과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을 추정하여 음식료품 제조업의 온실가스배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2011~2020년 19개 음식료품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배출효율성의 변화를 가정한 확률변경모형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료품 제조업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효율성은 0.85로 상대적으로 높은 온실가스 배출효율성을 보였다. 둘째, 시간에 따른 음식료품 제조업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효율성은 2011년 0.77에서 2020년 0.91로 향상되었다. 셋째, 대부분 음식료품 제조 기업은 탄소 저감 기술에 대한 투자로 얻을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잠재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s greenhouse gas (GHG) emission efficiency, using the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mission efficiency of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is 0.85, indicating that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has relatively high technical efficiency to reduce GHG emissions. Second, the average emission efficiency increases from 0.77 to 0.91 between 2011 and 2020. It appears that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has managed GHG emissions against the challenges from carbon reduction pressures. Third, regarding the GHG emission mitigation potential, the results show that most companies have different potentials for GHG reductions from investment in efficient carbon-reducing technologies.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강효녕 (Kang, Hyonyong)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강효녕 (Kang, Hyonyong)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9830 2 192 0 0
    •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채홍기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용희원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권오상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홍연아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승준호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민선형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이정민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수입곡물의 물가영향 및 공급지장효과 분석

      수입곡물의 물가영향 및 공급지장효과 분석
      이용건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건강식품과 인삼·홍삼제품의 소비의향 및 소비행위 요인 분석

      건강식품과 인삼·홍삼제품의 소비의향 및 소비행위 요인 분석
      주종윤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공공급식 자기부담금이 친환경/지역산 식재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공공급식 자기부담금이 친환경/지역산 식재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홍연아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수입곡물의 물가영향 및 공급지장효과 분석
  • 이전글 소비역량과 식품안전 인식이 원산지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