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저자
    정호중 , 권오현; 정원호
    등록일
    2023.09.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본 연구는 농작물재해보험의 보장 수준을 높여 농가 수취 보험금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현행 기준수확량 산출체계를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가장 높은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주요 가입 품목인 벼, 배, 떫은감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험금 지급 기준이 되는 기준수확량 산출방식으로 직전 5년, 7년, 10년 단순 평균, 올림픽 평균, 최젓값 제외 평균은 물론 미국에서 사용되는 CUP과 FLOOR 방식과 지역 단위 기준수확량 등을 적용하여 기준수확량 변화와 보험요율을 비교하였다. 분...

  • 목차

    • 1. 서론
      2. 보험 현황
      3. 해외 수확량 산출방식
      4. 분석 방법 및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농작물재해보험의 보장 수준을 높여 농가 수취 보험금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현행 기준수확량 산출체계를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농작물재해보험 가입률이 가장 높은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주요 가입 품목인 벼, 배, 떫은감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험금 지급 기준이 되는 기준수확량 산출방식으로 직전 5년, 7년, 10년 단순 평균, 올림픽 평균, 최젓값 제외 평균은 물론 미국에서 사용되는 CUP과 FLOOR 방식과 지역 단위 기준수확량 등을 적용하여 기준수확량 변화와 보험요율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5개년 FLOOR’과 ‘5개년 최젓값 제외 평균’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방식을 적용할 경우 모두 보험요율의 증가가 예상되며, 이는 보험요율의 50%를 보조하는 정부의 재정 부담으로 이어지므로 재정 당국과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base yield calculation method for Korea’s crop insurance program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in order to raise the guaranteed yield and indemnities for participating farmers. We conducted various scenario analyses on rice, pear, and astringent persimmon grown in Jeollanam-do, which is the top ranked area for the crop insurance participation rate in Korea. We compared the current base yield, which is a simple five-year average yield, with several suggested base yields such as a seven-year or ten-year simple average yield, Olympic average yield, average yield excluding the lowest yield, regional average yield, and U.S. methods of “CUP” and “FLOOR.” The results show that the five-year CUP and five-year average excluding the lowest yield appear to be the best options in terms of base yield improvement. However, these options bring about insurance premium increase which leads to the government financial burden because the government subsidizes 50% of insurance premium for farmers. Therefore, the improvement measures suggested by this study need close cooperation with the finance authority.

    저자정보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정호중 (Jeong, Hojung)
    저자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 이미지

    • 저자의 다른 보고서가 없습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정호중 (Jeong, Hojung)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669 3 92 0 12
    •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민기채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
      석준호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임창식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가계의 과일류 수요함수 추정에 있어 품질변경과 가격조정 문제

      가계의 과일류 수요함수 추정에 있어 품질변경과 가격조정 문제
      용희원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영향 분석

      2020년 외식 활성화 캠페인 영향 분석
      지정훈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한우농가 대상 가축질병치료보험 도입효과
      지연구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윤찬미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농촌지역 거주 경험에 따른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김동훈
      2023.06.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채홍기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용희원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연구
  • 이전글 The Effect of Agricultural Production Diversification on Dietary Diversity: A Case Study of Cambodia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