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제4유형
  • 식량안보 지표 개발 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정책연구(P) (P185)
    저자
    김태훈 , 김지연
    등록일
    2013.12.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식량안보의 대한 개념은 곡물의 생산, 교역 등을 통한 가용성에 초점을 두었으나 최근 식품의 안전성, 영양 등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이렇게 확대된 식량안보 개념에 부합하고 곡물 수입국인 우리나라의 식량안보수준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식량안보지수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국제곡물의 가용성을 개별국가의 곡물 자급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여 국제곡물 수급여건에 대한 수입국의 민감도를 지수에 반영하고 식량안보수준을 다른 나라와 비교·가능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외 곡물 수급현황과 전망
      제3장 식량안보 개념과 지표개발현황
      제4장 새로운 식량안보 개표 개발
      제5장 요약 및 활용방안

    요약문

    식량안보의 대한 개념은 곡물의 생산, 교역 등을 통한 가용성에 초점을 두었으나 최근 식품의 안전성, 영양 등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이렇게 확대된 식량안보 개념에 부합하고 곡물 수입국인 우리나라의 식량안보수준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식량안보지수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국제곡물의 가용성을 개별국가의 곡물 자급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여 국제곡물 수급여건에 대한 수입국의 민감도를 지수에 반영하고 식량안보수준을 다른 나라와 비교·가능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김태훈 이미지

    저자소개
    김태훈 (Kim, Taehun)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부원장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1549 0 156 0 0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최윤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
      202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승용
      2022.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김영준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업분야 ODA 사업 평가지침 작성을 위한 연구
  • 이전글 유기질비료 유통·이용 문제와 개선 방안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