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보도자료

제4유형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원문, 내용, 게시일, 작성자 정보 제공
[보도] 지난 10년 집에서 식사 ·조리 줄고, 외식·간편식 소비·온라인 구입 크게 늘어
2177
원문

"지난 10년 집에서 식사 ·조리 줄고, 외식·간편식 소비·온라인 구입 크게 늘어"

"간편성, 건강, 윤리적·가치소비 지향 식품소비 트렌드에 주목해야"

- KREI, ‘10주년 기념 2022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 개최 - 



지난 10년 우리나라 가구는 집에서의 식사 및 조리를 지속적으로 줄여왔으며, 식품 주구입장소로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동기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언택트 소비행태가 가속화되었고, 이러한 양상은 2022년에도 지속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2022년은 ‘물가’가 식품소비 및 구입행동에 크게 영향을 준 해였으며, 우리나라 가구들은 다른 여러 소비군에 비해 식품물가가 가장 크게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식품 물가가 가장 크게 올랐다고 응답한 가구가 전체 가구의 51.2%로 과반을 넘었으며, 다음으로 외식물가(18.1%), 주거 및 수도광열비(7.4%), 의류비(3.9%) 순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9일 개최한 ‘10주년 기념 2022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에서 나왔다. 이날 연구원의 이계임 박사 연구팀은 2022년도 우리나라 가구의 식품소비 및 외식행태와 식생활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2022년 식품소비행태조사(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CBSF)는 가구 내 식품 주구입자(3,321가구), 성인(6,365명) 및 청소년 가구원(586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가구 및 개인의 식품소비 및 외식행태와 식생활 파악을 목적으로 2013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식품물가 이슈가 크게 대두되면서 ‘가구의 식품물가 평가와 대응’과 관련한 특별조사를 별도로 실시했으며, 코로나19 발생 3년차로 접어들면서 조사 과정상의 다양한 불확실성에 대응하고자 예년보다 다소 이른 5월부터 조사에 착수해 통계값의 정확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주구입자와 가구원이 먹는 음식의 대부분을 직접 만들어 먹는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이 10년 전인 2013년 89.7%였던 것이 비해, 2022년에는 63.2%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추세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서 발표하는 가구의 식품비·외식비 지출에서도 확인되며, 1인가구와 맞벌이가구가 확대되면서 집에서 직접 음식을 조리하기보다는 외식 또는 간편식 등으로 식사를 해결하는 가구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했다. 


한편, 식품 주구입장소로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동기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으로 한 달에 1회 이상 식료품을 구입한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2013년 8.2%에 불과했는데, 올해(2022년)는 무려 56.3%로 크게 늘었다.‘식료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온라인 채널’이라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이 2013년에는 0.1% 수준으로 아주 미미했는데, 10년이 지난 2022년에는 약 4% 수준(가공식품 기준으로는 7% 수준)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이 전체 식료품 판매의 20% 수준까지 도달했다는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 결과와도 방향성을 같이 하는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간편성과 편리성을 지향하는 가구의 식품소비 트렌드가 꾸준히 이어져 온데다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언택트 소비행태가 가속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2022년도에 온라인에서 식료품을 구입할 때는 ‘가격’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는 가구 비중이 35.4%를 차지해 2020년 22.7%보다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올해가 식품물가 이슈가 확대된 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주목해야 할 식품소비 트렌드로는 간편·편리성 지향, 건강 지향, 윤리적·가치소비 지향 등을 꼽았다.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가구는 편의점에서의 소비를 크게 늘렸고, 온라인 주문, 당일배송 및 정기배송에 대한 선호가 높아져 왔다. 또한, 가정간편식(밀키트), 세척·절단된 채소(샐러드) 및 과일에 대한 구입을 크게 늘렸으며, 과일 등을 소포장형태로 구입하는 가구 비중도 빠르게 확대되었다. 이처럼 간편·편리성을 지향하는 식품소비 트렌드는 지난 10년을 대표하는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향후에도 지속될 트렌드로서 산업과 시장이 주목해야 하는 핵심 변화라고 밝혔다.


건강과 다이어트를 지향하는 트렌드 또한 꾸준히 확대되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2018년 3.70점(5점 만점)에서 2022년 3.70점으로 하락했으며, 건강에 나쁜 것을 안 먹으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가구의 비중은 크게 증가했다.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채식의 이유 또한 ‘건강상의 이유’가 60.0%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다이어트를 위해(15.7%)’가 주요한 이유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건강과 다이어트를 지향하는 것이 식품소비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시장은 약 4조 6천억 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2022년 기준), 이는 2011년(1조 3,682억 원)의 3배 수준이다. 


윤리적·가치소비 트렌드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대한 국민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며, ESG경영 우수기업(부정적 기업)에 대한 구매(불매)운동에 대한 의향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하지만 음식물쓰레기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농식품을 구입한다는 가구의 비중도 정체 내지는 소폭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어, 우리나라 가구의 실제 행동은 아직은 미흡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처럼 현재 인식과 행동이 다소간의 차이를 보이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윤리적·가치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더욱 강화될 것이고 행동·실천 또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농식품 생산자 및 관련 기업들에 대한 소비자와 사회 전체의 요구는 확대될 것이기 때문에, 농식품산업 및 식품정책 차원에서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관련 사진 보기

작성자 성과확산팀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