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현장의소리

지역축제 대폭 줄인다(문화일보 11.8)

2013.11.10
115
연구원이 조사하여 발표한 ''현장서베이'' 지역축제 통폐합 찬성 70%
관련하여 정부에서도 문제의식을 갖고 조정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
<문화일보 2013.11.8일자>
수천개 난립… 지역축제 대폭 줄인다
대부분 적자… 정부·지자체, 재정난 해소 미투데이공감페이스북트위터구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중복·난립하며 적자 운영을 하고 있는 지역 축제 및 행사를 대폭 축소키로 했다.

8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광역 시·도 5억 원, 기초자치단체 3억 원 이상의 행사·축제는 모두 367건이었으며, 3967억 원의 원가가 투입돼 1034억 원의 사업수익만 내고 2932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또 광역 시·도 1억 원, 기초단체 5000만 원 이상을 포함할 경우 지난해 전국에서는 1744건의 행사·축제가 개최돼 244개 자치단체 한 곳당 평균 7.14건 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광역단체 1억 원, 기초단체 5000만 원 이하까지 집계할 경우 전국 지자체의 행사·축제 건수는 그야말로 수천 건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안행부는 “지난해 367건의 지역행사·축제 중 경남 고성에서 66억 원을 들여 개최한 공룡세계엑스포가 47억 원의 이득을 남긴 것이 유일한 흑자 기록”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안행부는 지역 행사 및 축제와 관련된 비효율적 예산집행을 막기 위해 각 지자체에 2014년도 예산편성 운영기준 개정안을 통보하면서 각종 행사·축제별로 예산을 편성하도록 지침을 내렸다. 행사 및 축제의 원가회계 정보가 정확히 산출되고, 주민공개가 철저히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지자체들도 행사·축제의 축소에 나섰다. 지난 2007년 지역 축제를 구조조정했던 경북도는 해당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예산을 마련해 여는 축제에도 구조조정 지침을 내려보내고 있다. 강원도도 축제선정위원회를 구성해 경쟁력 있는 축제를 선정, 지원해나가고 있다.

김윤림 기자 bestman@, 전국종합
다음글
2013년 11월 현장의 소리
이전글
2013년 10월 현장의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