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리포터뉴스

(박종임) 혹독한 겨울 · 꽃피는 봄 · 영그는 여름 · 달콤한 가을/ 서울신문

2016.12.06
230

 

<2016년 12월 6일(화) 서울신문>

혹독한 겨울 · 꽃피는 봄 · 영그는 여름 · 달콤한 가을

 

 

다른 계절은 모르겠지만, 가을은 분명 그 절정이 있다. 곧 떨어질 잎들이 가장 선명하게 물든 날, 그런 날이 가을의 절정이 아닐까. 충북 괴산의 사과 농장인 ‘가을농원’으로 내려가던 날, 거리의 은행잎들을 보며 그런 생각을 했다. 하지만 자동차로 세 시간을 달려 도착한 괴산 설운산은 이미 겨울이었다. 앙상한 가지만 남은 나무들로 산은 황량했다. 아직까지 마른 잎을 달고 있는 낙엽송 군락만 황토빛으로 보였다. 사과향이 밀려 나온다. 사과 농원에 도착했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한 것은 창고 안에 가득한 사과 향기였다. 나무에 아직 사과가 매달려 있을 거라고 기대했는데, 며칠 전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다는 기상 예보에 모두 따 버렸다고 한다. 창고 앞 비탈진 땅에 사과나무들이 늘어서 있다. 그 가지에 사과가 매달려 있는 풍경은 상상할 수밖에 없었다.

(중략)

꽃을 유난히 좋아하는 아내 박씨는 서울에 살 때도 아이를 업고 꽃꽂이를 배우러 다녔다고 한다. 괴산에 내려와서는 밤에 청주대까지 오가며 꽃차 만드는 법을 배웠다. 분꽃, 맨드라미, 국화, 산동백 등을 손질해 닦고 말려서 꽃차를 만든다. 가톨릭농민회 회원으로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리포터로서 대외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우리가 사는 걸로 끝나는 게 아니라 아이들이 살아야 할 세상이기에 그들에게 좀더 나은 세상을 물려주고 싶어서 뭔가 하고 싶다고 했다.

(후략)

 

 

※ 인터넷 뉴스 보러가기(클릭):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207018003&wlog_tag3=naver 
다음글
“쌀 재고해소 집중, 식생활 개선으로 소비 유도를” 농경연 ‘농촌 현장의 소리’/ 한국농어민신문
이전글
(이윤희, 박현근, 정대원) 우리 농업의 기회와 도전/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