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농촌 생생한 현장의 소리를 보내주세요!
■ 조사개요
○ 조사기간: 2020.5.14.(목) ~ 5.21.(목)
○ 조사대상: KREI리포터
○ 참여방법: 온라인 사이트 및 이메일, 모바일
- 리포터 사랑방 사이트 > 로그인 > ‘리포트제출’에 작성
- 담당자 이메일로 회신 (김미리 주무원, alflfodu@krei.re.kr)
- 모바일 (클릭!)
○ 관련 연구: 친환경농업을 통한 농업환경 보전 기능 강화방안 연구(임영아)
■ 조사내용
"양분투입과 활용, 특히 양분과잉에 대응한 관리에 대해 정책적으로 제안하고 싶은 의견을 보내주세요."
▶ 농경지에 투입되는 양분은 화학비료, 가축분뇨 퇴액비, 부숙유기질비료 등과 같은 비료의 투입, 콩과작물의 생물학적 질소고정 등으로 계산합니다. 이렇게 투입된 양분은 다양한 작물이 자라나는 데 사용되며, 이것을 양분의 활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투입된 양분보다 활용된 양분이 적은 경우, 양분과잉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토양질 저하, 수질오염, 부영양화 발생과 같은 오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현재 OECD 지표 기준으로 한국은 질소 과잉으로 1위, 인 과잉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어 적절한 양분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 농업·농촌 이슈가 있을 때 상시적으로 사랑방 사이트(http://www.krei.re.kr)에 의견을 보내주세요. 보내주신 소중한 의견은 건당 마일리지를 부여하여 연말 사례비로 정산되며, 요약된 내용은 관련 연구자에 전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