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리포트제출

골짜기와 계곡에 보를 만들자

2025.09.10
26
작성자
임충빈
조치여부
제출
조치내용

(현황과 문제점)

 

 올해는 오랜 가뭄과 폭서로 동해안 강원도와 경북북부지역에 극심한 물 부족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농업용수는 관정과 지하수 수위가 낮아져 고갈 상태이고 농업용 양수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심지어 수원이 고갈 돼 상수도 공급이 되지 않아서 이웃 지자체에 식수를 공급토록 협조했으나 거절 당하는

상황까지 아주 심각하다. (TV, 방송에 보도되었음)

  하여 농업 생산에 큰 차질을 빚고 있으며 가을 파종도 못하는 지경(상황)이고 

심겨진 작물에 관수를 제대로 못하여서 생육상태가 원활하지도 고사상태이며

수확은 물론 수량이 감소되는  심각한 상황이며

 시설은 있으나  양수로 관수를 하지 못해서 그 피해가 심각하다.

 건천(乾川)이 되어서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어 곤충, 파충류, 어류 등과 수생식물이 없어지는 상황이다.

 , 건천엔 잡초와 수목이 많아서 물 흐름을 방해하여서 폭우나 호우 때 제방 붕괴, 도로침수내지 파손, 농경지침수, 등등 

그 피해 연중 행사로 나타나고 있다

 

(필요성

 이 지역엔 높고 낮은 산들이 많아서 골짜기와  계곡들이 많아서 

그 요소 요소에 여건에 맞는 작은 보()나 간이 저수시설을 물 흐름에 방해되지 않게 설치하여야 한다.

 물 저장량이 많아져 수분을 충분하게 보유할 수 있어서 수목들 생육이 좋아지고(생태계 유지)

산불이 발생하여도 습기가 충분하여 낙엽 등이 쉽게 타지 않은 효과도 있으며

화재 집압용 물을 충분하게 가까이서 확보하여서 일거 3득이 될 정도로 유익한 저수작용을 할 수 있다.

 지난 경북 북부지역 산불 현장에서 동민들이 예방을 위하여 임도에 따라 물을 부리려고 하여도 수원, 물이 없어서
그 피해가 더 커 졋으며 이것을 한 곳에선 맞불을 놓아서 그 패해흫 막았다는 실증이 있습니다.

 

(효과)

적은 예산으로 우리나라의 곳곳에 크고 작은 저수지 효과를 갖는 저수가골짜기, 계곡마다 설치돼 

다양한 용도로 물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생태계가 유지, 보존됨으로써 숨목 성장과 발육, 곤충 등 

매개 역활의 원화하여 번식과 결실에 도움되는 다양한 이득이 있을 것이며 

좁은 국토를 더 크게 활용하는 방안이다.

 곳곳에 물을 저장하여 수자원이 많아지면 공기 정화와 수목 성장에 도움돼 기후온난화를 낮추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 하천 관리, 계관리가 되어서 지하수 수위를 높여서 농업용 양수를 쉽게 할 수 있어서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재난은  대응보다는 선재적 예방이 더 효율적이다. 평시에 대비를 하여야 한다. 기후변화에 적을 할 수 있는 방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