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타결 및 발효가 순차적으로 확대되고 다자간 협상이 진전되면서 우리나라 농업 분야의 시장 개방도 더욱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쌀 관세화 전환을 마지막으로 거의 모든 농산물 시장을 개방하였다. 이러한 농업 부문의 개방화 가속은 세계 시장의 변화가 이전보다 국내 시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이 많아 대외 환경 변화에 민감한 우리나라 농업 부문의 여건을 고려할 때, 상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급·교역 모형은 우리나라 농업 부문의 특수성과 세계 시장의 환경 변화가 미칠 수 있는 파급효과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외무역 환경 변화와 농산물 시장 개방 확대가 국내 농업 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계측하기 위한 세계 농산물 무역모형을 기초적인 수준에서 설계하고자 하였다. 향후 우리나라 농업 부문 특성을 고려한 세계 농산물 무역모형 개발을 염두에 두고 모형 구조를 설계하고, 개발에 필요한 착안 사항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22282 | 0 | 34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