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발적 발전이란 지역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해 지역의 주체가 객관적으로 인식하여 문제해결의 대안을 마련하는 지역 개발방식이다. 지역사회를 근간으로 하여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주민과 단체가 개발 주체가 되어 지역 자원(resource)을 주도적으로 발굴·개발하고 생산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전체의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과정(process)을 말한다.
내발적 발전의 구성 요소는, ① 다양한 주체의 조직화, ② 주체의 역량 강화, ③ 지역자원의 생산적 활용과 보전관리, 그리고 ④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활동 등이다.
내발적 발전론의 관점에서 본 농촌지역 활성화란 농업생산을 기본으로 하여, 농산물 가공이나 특산품개발 등의 2차 산업활동, 나아가 농산물 유통이나 도농교류, 농촌관광 등 3차 산업활동 등을 농촌지역에서 담당함으로써 농촌내부에서 고부가 가치화와 고용 창출 등에 의한 소득향상과 지역진흥을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즉 농촌지역 활성화는 지역의 농업진흥을 기반으로 해야만 지속성을 가지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내발적 발전론의 관점에서 다양한 주체의 조직화와 역량 강화에 관련하여 한·일 양국의 농촌 사회조직, 마을단위에서 농지·노동력·자본을 적절히 조직화하여 농업진흥을 도모하는 마을영농, 그리고 이러한 활동 위에서 도농교류와 농촌관광 등을 통한 마을 만들기 사업 등에 관한 한·일 사례연구의 결과이다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44025 | 0 | 28 | 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