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화에 따른 시장개방과 규제완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농가인구의 감소와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지역간·계층간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농촌지역도 성장하는 지역이 있는 반면에 쇠퇴하는 지역이 나타나고, 최근 농가소득은 감소하면서도 계층간 격차가 확대되는 등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영세한 농업경영체나 상공업자의 개별적인 경제활동으로 소득증대나 활성화가 곤란한 지역에서는 지역단위의 조직화에 의해 부존자원을 활용하고 다양한 비즈니스 활동을 전개하는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확산되고 있다. 그렇지만 지역의 니즈와 주민의 역량을 넘어서는 사업도 있어 성과나 지속성에 문제를 안고 있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단위로 농업생산을 기본으로 하여 가공이나 유통으로 발전하는 동시에 농업인과 지역 상공업자와 연대하여 지역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실태와 역할을 파악하여 이를 확산하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농촌경제를 활성화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농촌지역에서 일자리 창출과 부가가치 향상 등 적정수준의 수익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령화 등에 따른 지역주민의 다양한 사회 생활상의 문제를 해결하여 지역간·계층간의 불균형 문제를 시정하는 정책수단으로 기대된다.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46770 | 0 | 31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