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의 높은 관심에 대응하여 국가는 2011년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하였다. 지방자치단체는 조례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농촌진흥청이나 농업기술센터는 각종 교육과 자재 등을 공급하며, 시민단체도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도시 주민이 농업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배경에는 소득의 증가, 여가활동이나 체험에 대한 욕구의 증가, 도시 과밀에 의한 피로누적 등이 있다. 도시농업이 확산됨에 따라 농업에 대한 참여와 관심이 증대하고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인식이 확대된다.
도시농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증가하는 반면에 도시농업의 참여기회, 관련 인프라 정비, 이용자의 의식 등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이 있다. 도시농업은 지가상승으로 인한 농지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환경규제와 같은 많은 제약이 상존하고 있다.
도시민의 농업활동으로 다원적 기능과 농업에 대한 인식 전환 및 공동체 유지 수단으로 도시농업은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도시농업의 실태와 도시민의 의향 등에 근거하여 다원적 기능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고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43473 | 1 | 3 | 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