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은 인구의 고령화와 과소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지연이나 혈연에 근거한 공동작업이나 약자에 대한 배려, 지역자원의 관리 등 커뮤니티기능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여 영세한 농가나 상공업자가 개별적인 경제활동으로 소득증대나 지역활성화를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다.
지역공동체를 기초로 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가 등장하는 배경에는 지역 농림어업이나 상공업의 침체, 고령화와 이에 따른 복지수요 증대 등과 같이 지역문제가 다양화 및 복잡화되는 반면에, 종전의 개별 기업이나 행정 서비스에 의한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즉, 격차가 확대되고 복지수요가 다양화해짐에 따라 공동체적 요소에 의한 소규모의 현장 밀착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11~13년의 3년에 걸쳐 수행될 예정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 연구의 2차연도 연구결과로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농촌형’ CB를 중점 분석하여 지역사회의 복지향상과 공동체기능 회복 및 자원환경 활용 등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활성화되기 위한 과제에는 지역주민과 리더, 농협 등 지역밀착형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지역 고유의 자원을 개발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사업성과의 지역사회 환원 등이 있다.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46321 | 0 | 36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