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세계 농업 브리핑 

제4유형
세계 농업 브리핑 상세보기 - 제목, 내용, 게시일 정보 제공
베트남, 주류시장 동향
1462



원문작성일: 2021.05.20
원문작성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독일 기반의 시장 조사업체 Statista 통계에 따르면, 2013~2019년 베트남 술 시장은 현지 소비자들의 구매력 제고 및 음주문화 활성 기류를 따라 연평균 성장률 8.35%로 안정적인 확장세를 보임. 해당 시장 규모는 2019982,500만 달러를 기록한 데 이어 20201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함. 그러나 작년 예기치 않은 팬데믹 여파로 현지 술 시장 규모는 8.6% 축소돼 시장 매출이 2018년보다 못한 수준으로 퇴보함. Statista2021년 베트남 내 주류(酒類) 품목 소비가 회복되기 시작해 2022년 그 시장 규모가 100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함. 참고로, 영국 기반 시장 조사업체 Euromonitor 또한 2020년 위축됐던 베트남 술 시장 매출이 2022년 들어 팬데믹 전과 같은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 예측한 바 있음.

 

베트남 술 시장은 맥주가 약 8할을 차지함. 호찌민시를 비롯한 베트남 남부는 연중 27~30°C에 이르는 고온을 유지하는 한편 북부도 대체로 눈이 희귀한 아열대 기후인데, 이처럼 무더운 날씨로 인한 해갈 수요가 현지인들의 맥주 소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추측됨. 더불어, 맥주의 알콜 평균 도수 및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 베트남에서는 와인이나 증류주 등의 술보다 맥주 소비가 월등한 것으로 분석됨. 참고로 한 현지 언론은 과거 일부 현지 소비자들에게 맥주는 다른 주종보다 알코올 도수가 약해 건강에 덜 해롭다는 인식이 보편적이었고 이 때문에 다른 술보다 맥주 소비량이 많았다고 전함. 베트남 맥주 시장은 각 지역별 대표 현지 기업, 하이네켄이나 사포로 등과 같은 글로벌 유명 기업들이 치열한 점유율 경쟁을 진행 중이며, 수제 맥주 브랜드들(주로 외국인 투자) 또한 2013~2015년 시점부터 두각을 드러냈는데, 현지 수제 맥주는 현지 밀레니얼 소비자를 중심으로 유명 식당 및 바에서 주로 유통됨.

 

베트남 술 시장에서 맥주를 제외한 나머지 2할은 와인, 증류주, 사과주(cider/perry), 현지 전통 곡주가 차지함. 다만 20%라는 숫자는 비율일 뿐 와인·증류주·사과주·곡주를 아우른 기타 주류 시장은 전반적인 술 시장 동향과 비례해 꾸준히 성장 중임. 무엇보다 이 기타 주류 시장은 소수 브랜드가 과점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브랜드의 술들이 분할 점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여겨볼 만함. 베트남에서 외국 술은 수입 관세가 40~55%(MFN 기준) 정도로 상대적으로 높이 적용되는데 더해, 부가가치세(10%)와 특별소비세(35~65%)까지 부과됨. 여러 세금이 중첩 부과된 수입 술은 최종 소비자 가격이 현지 생산 맥주나 전통 곡주에 비교해 수십 배 높고, 더욱이, 술 유통 사업은 베트남에서 조건부 사업(conditional business)이라 제약 요건이 있고 수입 및 유통 라이선스 발급도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편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서 유통되는 외국 술 브랜드와 주종은 가일층 다양해지는 추세인데,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베트남 주류 음료 수입 규정이 2008, 2012, 2017, 2020년 순차적으로 점진 완화됨에 따라 시장 진입 관문이 전보다 넓어짐(참고로 특별소비세 규정도 변화가 있었는데, 술에 부과되는 특별소비세는 현재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나 전보다는 낮아짐) 2) 베트남이 한국-베트남 FTA, EU-베트남 FTA, CPTPP 등 자유무역협정을 적극 추진한 덕에, 외국 수입 술에 대한 베트남 소비자들의 접근성도 높아짐, 3) 베트남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따라 현지 소비자 구매력이 제고된 한편, 소비자 의식 변화로 새로운 식문화 및 상품 시도가 증가함. 일례로 Fitch Solutions에 따르면 2001년까지만 하더라도 베트남에서 유통되는 와인은 대부분 프랑스산으로 수입 와인 시장 전체 매출의 68.5%를 차지했지만, 2018년에는 24.4%로 대폭 감소함. 현재 베트남 시장에서는 칠레,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등 다양한 국가의 와인이 고루 유통됨. 아울러 한국 소주와 막걸리, 일본 사케와 매실주 등은 현지 한국 및 일본 식당이 늘어난만큼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상품이 됨. 특히 우리 소주는 한식당 뿐만 아니라 도심 편의점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을만큼 유통이 확대되기도 함.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