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관련기사 

제4유형
관련기사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경제]지역별 6차산업화 우수사례 <11>추진 현황 및 성과창출 방안
1930
지역별 6차산업화 우수사례 <11>추진 현황 및 성과창출 방안

최종편집일 2015-09-01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가 농업의 부가가치 제고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해온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가 정책추진 3년차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성공모델이 나오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6차산업화 기반조성을 위한 법률시행, 지원기관 설치 등에 힘입어 2014년 기준 창업자수는 전년대비 8.8%나 늘었다. 같은 기간 6차산업(예비)인증사업자의 경영체 별 매출액도 11.2%나 증가했다. 특히 20146차산업화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입상한 10곳의 경영체를 분석한 결과, 전년대비 매출액은 26%, 일자리는 95%나 늘었다. 지역별 6차산업화 우수사례의 연재를 마무리하면서 6차산업화 현황과 성과창출을 위한 방안 등을 점검했다.
 
 
|추진 현황
 
2·3차산업 융복합 부가가치 창출
농가 소득향상·일자리 창출 모색
 
정책추진 배경=기존의 농·축산업에 가공·유통·판매·관광 등 2·3차 산업을 융·복합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통해 농업인들의 소득을 높이고, 농촌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자는 것이 정부가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를 추진하는 이유다.
 
농가소득의 경우 최근까지 3000만원대에서 정체돼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농가소득은 지난 20002300만원에서 20103200만원, 2013년에는 3500만원 수준에 머물러 있다. 도시근로가구소득과 비교할 때 2000년에는 80.5%수준이었던 것이 2013년에는 62.5%수준으로 더 떨어진 것이다. 또한 농림업취업자수도 지속적인 감소추세다. 농림업분야의 취업인구는 지난 20081569000명에서 2013년에는 1426000명으로 줄었고, 이 추세라면 2018년에는 1355000명 수준으로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는데 3ha이상 농가비중이 지난 20006.3%에서 2012년에는 8.6%로 늘어났고, 같은 기간 0.5ha미만인 농가의 비중도 32.8%에서 42.2%로 늘었다. 또한 0.5~1.0ha규모의 중소농을 중심으로 농업소득은 감소하는 반면 농촌활동 다각화로 농외소득은 증가하고 있다. 농가당 농외소득은 20059884000원에서 2013년에는 15705000원으로 증가했다.
 
이런 여건을 감안할 때 농외소득원 창출정책의 구체화를 통한 농가소득 향상과 농촌지역 내 일자리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6차산업화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경진대회 입상 후 경영성과 주목
평균 매출액 26%, 일자리 95%
 
성과와 개선과제=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면서 창업자수가 늘어나고, 성공모델도 발굴되고 있으나 아직은 정책 확산 초기단계라서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6차산업화의 경우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지난 64일부터 시행에 들어갔으며, 관련규제도 완화되는 등 법적·제도적 지원기반이 마련되고 있다. 전통주의 인터넷판매 확대를 위한 국세청 고시 개정(4)과 건축물 진입도로 의무 확보 규정과 관련된 국토교통부의 훈령 완화(5), 농어촌정비법 개정을 통한 농촌민박 조식제공 허용(7) 등이 이런 사례다. 뿐만 아니라 9개도에 설치된 ‘6차산업활성화지원센터를 통해 6차산업화 경영체에 대한 맞춤형 지원체계를 갖췄고, 농촌자원이 집적화된 단지를 6차산업 지구로 선정·지원하고 있는 것도 성과다.
 
이처럼 6차산업화의 경우 창업부터 사업 활성화까지의 맞춤형 지원이 이뤄지면서 창업자수가 지난 2013364명에서 2014년에는 396명으로 8.8%가 늘었다. 이는 국가전체 사업체수 연평균 증가율 2.8%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2014년 기준 6차산업(예비)인증사업자의 평균매출액도 83100만원으로 전년 74700만원 대비 11.2%가 늘었다.
 
특히, 농림축산식품부는 6차산업화 성공모델을 발굴, 확산시키고 농업인의 6차산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매년 6차산업화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2014년 경진대회에서 입상한 10곳의 경영성과를 조사한 결과, 지난 2013년 대비 평균 매출액은 26%, 일자리는 95%가 증가했다. 대상을 받은 백석올미영농조합법인의 경우 매출액은 40%, 일자리는 5배가 증가했고, 은상을 받은 베리팜영농조합법인의 경우 매출액이 25%, 일자리가 2배 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6차산업화에 대한 지원이 초기단계이고 사업체의 규모가 영세하며, 6차산업화를 선도할 제품이나 농촌관광 콘텐츠가 다양하지는 못하다는 한계도 있다. 사업규모가 영세할 경우 안정적 판로 확보가 어렵고 경영역량도 미흡할 수밖에 없는데, 인증사업자 332개소를 조사한 결과, 매출액 2억원 미만이 45%나 되고, 65%4억원 미만이었다. 또한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에 대한 일반국민(소비자)들의 인지도가 31.6%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고, 최신 소비트렌드를 충족하면서 시장을 선도할 제품이 아직은 많지 않다는 평가다. 아울러 체험마을이나 농촌민박 등 관광인프라가 확충되고는 있으나 단순체험 위주의 단조로운 프로그램과 서비스마인드 부족, 낮은 정보접근성 등의 문제점도 노출하고 있다.
 
 
|성과 창출 방안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지원 강화
제품 컨설팅·판로개척 지원 계획
 
맞춤형 지원 강화=농림축산식품부는 6차산업화에 앞장선 경영체의 성과창출을 위해 사업별 특성을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제품컨설팅 및 판로개척을 지원할 예정이다. , 1·2차 산업 중심 또는 3차 산업 중심 등 경영체의 유형을 분류한 후 전문적인 컨설턴트 활용해 제품, 경영, 회계 등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컨설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컨설팅 지원비용을 기존 5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상향했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지난 430, 지역 내 이마트 3개점에 ‘6차산업 안테나숍을 설치했는데 소비자 반응이 좋아 지난 530일부터 상설매장으로 전환한 사례가 있다. 이곳은 20155월 기준 매출액이 16000만원으로 안테나숍 설치 전과 비교해 매출액이 60%나 증가했다.
 
이처럼 정부는 대기업과의 상생마케팅 및 안테나숍 설치 등을 통해 시장 맞춤형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있으며, 명품지역특산물 판매코너인 현대백화점 명인명촌관, CJ올리브영 등의 입점도 지원한다. 아울러 백화점 안테나숍 설치, 인터넷포털사이트인 네이버에 6차산업 전용관 설치, 코레일(한국철도공사) 유통망을 활용한 제품 판매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6차산업의 가치와 비전을 반영한 BI(브랜드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브랜드의 선호도를 높이는 작업) 리모델링 및 슬로건 개발을 통해 긍정적 이미지를 확산하고, 소비자구매를 유도할 계획이다.
 
지역특화산업 클러스터로 육성
현장규제 지속적 발굴, 개선 예정
 
지역특화산업 클러스터로 육성=전북 순창군에는 소규모 장류업체 42개소가 집적화돼 있었으나 지역농업과의 연계가 미흡하다는 평가가 있었다. 그러나 순창군이 6차산업화 지구에 지정되면서 장류특구 내 한옥시설을 민박시설로 리모델링하는 등 체류형 관광 활성화와 지역농업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6차산업화 지구는 지난 20143개소, 20156개소가 추진되고 있는데, 지역특성에 따라 전후방사업과 연계하고, 규제개선 등을 통해 지역특화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6차산업화 지구를 유형별로 나눠 특성에 맞는 6차산업화를 촉진할 예정이다. , 주산지형(산지 집적화로 자연경관이 뛰어나 관광산업과 연계가 용이한 곳), 가공집적형(농공단지 또는 집적화된 가공시설 보유한 곳), 특화품목·기능형(1·2·3차 산업자원이 지역 내 개별적으로 분포하는 곳)으로 구분, 육성할 예정이다. 각 유형에 맞는 전문가들이 연중 상시적으로 컨설팅을 해주고,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의 정책과 연계해 전후방산업을 육성한다는 것이 정부의 구상이다. 아울러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규제특례법에 근거한 각종 규제의 예외가 6차산업화 지구에도 적용되도록 하고, 6차산업화 촉진에 걸림돌이 되는 현장규제를 지속적으로 발굴, 개선해나갈 예정이다.
 
6차산업 활성화 지원센터 운영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연계 지원
 
지원센터 역량 강화=경북농민사관학교, 경기농림진흥재단, 강원농촌융복합산업지원센터 등 현재 9개 도에 ‘6차산업활성화지원센터가 지정, 운영되고 있다. 지원센터는 사업자인증 및 관리, 전문상담 및 현장코칭, 안테나숍 설치와 판촉행사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전북 진안의 마이산현미발효밥이나 군산 더미들래’, 완주 동산면사람들등에서 생산한 제품을 유명백화점에 입점 시키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이런 성과에 더해 농식품부는 각 도별 지원센터와 미래창조과학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을 연계해서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기관 간 정보공유 및 사업연계를 통해 유기적 지원이 가능토록 하고, 창업자의 경우 역할분담을 통해 지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창업자지원체계를 예로 들면, 각 도의 지원센터와 창조혁신센터가 창업아이템 발굴 및 창업지도를 하고, 이후에는 지역의 농산물종합가공센터를 통해 시제품 생산 및 상품화 등을 지원한다. 이런 과정에 6차산업화활성화지원센터는 창업자에 대한 전문컨설팅 및 판로개척 등을 지원하는 등 연계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부산 창조경제혁신센터 전담기업인 롯데백화점·마트 등에 6차산업 전용식품관을 설치하는 것처럼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주요테마와 연계한 협업프로젝트도 발굴, 추진한다.
 
관광상품 차별화·외국 관광객 유치
코레일·민간여행사 연계 상품 개발
 
농촌관광 경쟁력 제고 지원=콘텐츠 다양화 등을 통한 차별화된 관광 상품 개발, 외국인 관광객 유치 등 농촌관광 활성화에도 주력할 예정이다.
 
우선은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촌관광자원의 통합관리와 체험프로그램 다양화 등을 지원한다. 체험마을, 자연휴양림, 농가맛집 등에 대한 통합관리 및 온라인예약시스템 등을 구축하고, 치유, 힐링 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콘텐츠 개발 및 코레일이나 민간여행사와 연계한 상품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또한 ‘1만 유커(중국 관광객) 농촌관광 유치 프로젝트’, KOIKA(한국국제협력단) 글로벌연수사업 연계, 해외 농산업계 리더 초청 등을 통해 외국인을 적극 유치할 예정이다.
 
특히 매출액이 63억원에 달하는 강원 평창의 의야지바람마을의 경우 마을체험프로그램이 60여개 민간여행사의 패키지 상품에 포함돼 연간 7만명 이상의 외국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가 선호하는 농촌관광정보를 엄선한 후 휴대폰(SNS,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을 통해 적시에 홍보하고, 민간여행사를 통한 농촌관광 상품도 판매할 계획이다. 아울러 체험마을에 대한 등급평가를 2014300개소에서 2015년에는 350개소로 확대하면서 안전관리 강화, 운영자 역량 제고 등을 통해 서비스의 품질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서상현 기자 seosh@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