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생활권 종합진단지표 개발과 활용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송미령 , 김광선; 권인혜; 윤병석
    등록일
    2011.01.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이 연구는 전국 163개 기초생활권 시·군의 발전 정도 및 잠재역량 등 지역 여건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부문별로도 지역 진단이 가능한 실용적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선행연구를 참고로 지역발전지수(RDI: Regional Development Index)의 구조와 내용을 설계하고, 정부의 공식통계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생활서비스·지역경제력·삶의여유공간·주민활력의 4개 영역별 지수와 종합지수를 개발, 분석하였다. 특히 각 부문 및 종합지수 측면에서 상위 50위권 시·군의 활동 사례를 주요 일간지를 통해...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 과제
      제3장 지역발전지수를 활용한 기초생활권 실태 분석
      제4장 지역발전지수의 시계열 변화
      제5장 2010년 특수 지수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전국 163개 기초생활권 시·군의 발전 정도 및 잠재역량 등 지역 여건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부문별로도 지역 진단이 가능한 실용적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선행연구를 참고로 지역발전지수(RDI: Regional Development Index)의 구조와 내용을 설계하고, 정부의 공식통계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생활서비스·지역경제력·삶의여유공간·주민활력의 4개 영역별 지수와 종합지수를 개발, 분석하였다. 특히 각 부문 및 종합지수 측면에서 상위 50위권 시·군의 활동 사례를 주요 일간지를 통해 발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gional indices useful for diagnosing and evaluating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163 Basic Settlement Areas nationwide. These indices are supposed to be utilized as basis for reasonable decision-making in the process of aim-setting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y, monitoring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policy accomplishments.
    The indices are largely composed of two categories; one is comprehensive index named as ‘Regional Development Index(RDI)’, the other sectoral index such as ‘Living Service Index’, ‘Regional Economy Index’, ‘Space for Relaxation Index’ and ‘Residents' Vitality Index’. The comprehensive index, namely RDI is drawn from the synthesis of the 4 sectoral indices.
    Besides the 5 indices mentioned above, we also developed special indices such as ‘Creative Region Index’, ‘Living Convenience Index’ and ‘Green Growth Base Index’ in order to reflect the diagnosis of particular sectors which are expected to gain more importance in the future.
    To develop regional indices, we constructed databases using official data including 20 variables concerning the sectors of ‘living place’, ‘working place’, ‘relaxing place’ and ‘community place’, which represent primary characteristics of Basic Settlement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of regions according to their RDI ranks, 5 rural municipalities, 28 urban-rural mixed municipalities, 16 urban municipalities fall under the top 30% municipalities. There is tendency to give higher RDI values for the municipalities located adjacent to big cities and municipalities functioning as regional cities or situated near regional cities.


    Researchers: Mi-Ryung Song, Kwang-Sun Kim, In-Hye Kwon and Byeong-Seok Yoon
    Research Period: 2010.11~2011.1
    E-mail Address: mrsong@krei.re.kr

    저자에게 문의

    송미령 이미지

    저자소개
    송미령 (Song, Miryung)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휴직 등 기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9179 0 71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