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돌아오는 농어촌, 농식품 산업의 미래를 열다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2-100)
    저자
    박동규 , 최지현; 허장; 김창길; 이계임; 황의식; 정민국; 박대식; 이용선; 정학균; 문한필; 김정섭; 최병옥; 김창호; 김광선
    등록일
    2012.01.31
  • 이 보고서에서는 이명박정부의 대내외 농정 추진여건과 지난 5년동안 추진한 분야별 정책을 농림수산식품부 내부자료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평가하였다. 이명박정부에서 추진한 주요 정책을 농・수협 개혁, 식품산업 육성 및 수출확대, 원예산업 경쟁력 제고, 농어촌 관광 및 지역개발 활성화, 안전 농식품 공급 등 17개 분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마지막 편에서는 종합적인 평가와 향후 개선 과제를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 목차

    • 제1편 이명박정부 농정 추진여건

      제2편 주요 농업·농촌 정책의 추진과 평가
      제1장 농·수협 개혁
      제2장 식품산업 육성 및 수출확대
      제3장 가축질병 방역체계 개선 및 축산업 선진화
      제4장 농림수산식품분야 미래 준비
      제5장 WTO/FTA 협상 대응
      제6장 농어업분야 FTA 국내보완대책
      제7장 식량산업 경쟁력 제고
      제8장 축산업 경쟁력 제고
      제9장 원예산업 경쟁력 제고
      제10장 수산업 생산경쟁력 제고
      제11장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복지지원 강화
      제12장 농업인 소득·경영안정 시스템 구축
      제13장 농어업 정예인력 육성 및 귀농·귀촌 활성화
      제14장 농어촌 관광 및 지역개발 활성화
      제15장 농산물 물가안정 및 유통구조 개선
      제16장 해외농림어업 개발협력 활성화
      제17장 안전 농식품 공급

      제3편 이명박정부 농정여건과 주요 정책의 평가와 과제(요약)

      부 록 이명박정부 농정연혁

    요약문

    이 보고서에서는 이명박정부의 대내외 농정 추진여건과 지난 5년동안 추진한 분야별 정책을 농림수산식품부 내부자료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평가하였다. 이명박정부에서 추진한 주요 정책을 농・수협 개혁, 식품산업 육성 및 수출확대, 원예산업 경쟁력 제고, 농어촌 관광 및 지역개발 활성화, 안전 농식품 공급 등 17개 분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마지막 편에서는 종합적인 평가와 향후 개선 과제를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박동규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57345 0 0 5 6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귀농·귀촌 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

      귀농·귀촌 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
      이순미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유럽의 사회적 농업 정책

      유럽의 사회적 농업 정책
      김정섭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
      김정섭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제도 개선 및 관련 정책 추진 방안
      김정섭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 조사 결과 보고서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 조사 결과 보고서
      김정섭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김정섭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요약본

      서울시 사회적농업 육성 지원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요약본
      김정섭
      2022.06.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람과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 농업‧농촌을 위한 정책과제

      사람과 환경 중심의 지속가능 농업‧농촌을 위한 정책과제
      황의식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황의식
      2019.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3/3차연도)
      김태곤
      201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정분야별 정책방향: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과 새로운 농정패러다임 구축』 자료집

      농정분야별 정책방향: 『농업·농촌의 가치 확산과 새로운 농정패러다임 구축』 자료집
      KREI
      2017.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김정섭
      2017.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2/3차년도)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2/3차년도)
      김정섭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지역사회 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 과제

      농촌 지역사회 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 과제
      김정섭
      2017.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성과 분석 및 발전모델 개발
      송미령
      2017.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수립 연구
      김정호
      201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농촌정책 토론회 자료집 3 : 도시와 농촌 공간

      새농촌정책 토론회 자료집 3 : 도시와 농촌 공간
      송미령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경영체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경영체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송미령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수원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연구 용역
  • 이전글 저탄소농업 직접지불제도 도입 방안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