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농정포커스

농정포커스

제4유형
  • FTA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개선 방향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문한필 , 정민국; 남경수; 정호연
    등록일
    2014.08.22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 한·미 FTA와 한·EU FTA 타결을 계기로 정부는 농업인의 피해보전 및 농업의 체질개선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총 28조 8천억 원 규모(2008~2020)의 FTA 국내보완대책을 수립
    - 2008~2013년 동안 농업분야 FTA 국내보완대책에 배정된 투융자 예산은 13조 3,279억 원, 집행실적은 12조 9,467억 원
    - 지난 6년간 ‘축산 경쟁력 제고’와 ‘맞춤형농정 추진’에 전체 지원액의 46.8%(6조 530억 원)와 27%(3조 4,943억 원)를 투입

    ◦ 축산과 과수분야의 규모화 및...

  • 목차

    • 1. FTA 국내보완대책의 수립과 추진
      2. FTA 국내보완대책의 성과
      3. 문제점과 개선 방향

    요약문

    ◦ 한·미 FTA와 한·EU FTA 타결을 계기로 정부는 농업인의 피해보전 및 농업의 체질개선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총 28조 8천억 원 규모(2008~2020)의 FTA 국내보완대책을 수립
    - 2008~2013년 동안 농업분야 FTA 국내보완대책에 배정된 투융자 예산은 13조 3,279억 원, 집행실적은 12조 9,467억 원
    - 지난 6년간 ‘축산 경쟁력 제고’와 ‘맞춤형농정 추진’에 전체 지원액의 46.8%(6조 530억 원)와 27%(3조 4,943억 원)를 투입

    ◦ 축산과 과수분야의 규모화 및 시설현대화 관련 투융자사업은 농가의 비용절감, 생산성 향상, 품질개선 등에 기여
    - ‘축사시설현대화’사업 수혜농가(비육우)는 비수혜농가에 비해 ‘1등급 출현율’이 2.9% 높고, ‘판매 시 평균체중’은 2.1% 더 큰 반면, ‘폐사율’은 15.4% 더 낮고, ‘축사면적당 1인 일평균 노동시간’은 0.8% 단축
    - 2003년 대비 2012년 단위면적당 과일 생산량은 13.2% 증가하고, 노동시간은 11.4% 감소하고, 과원 10a당 소득(실질가격 기준)은 42.1% 증가

    ◦ ‘음식점원산지표시제’와 ‘축산물이력제’, ‘HACCP 인증지원’ 등의 사업은 유통경로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국산 농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강화
    - ‘농지매입비축’, ‘경영이양직불제’, ‘농지연금’ 등의 사업을 통해 매입된 농지는 전업농과 2030세대 위주로 임대·이양되면서 농업인의 노후생활안정, 농지자원의 원활한 재배치와 규모화, 식량자급률 제고 등에 기여
    - ‘농업재해보험’도 대상품목과 보장범위 등이 확대됨에 따라 가입농가가 늘어나고 있으며, 규모화된 농가의 위험관리 및 소득안정 수단으로 정착되고 있음
    - 지난 5년 동안 재해보험에 가입한 농가(1회 이상)는 미가입 농가보다 농업소득(농가소득)이 평균 9.1(3.8)% 더 높은 것으로 계측

    ◦ 기존 농정과 FTA 보완대책의 차별성 강화를 위한 개별 사업의 적정성 검토와 FTA 보완대책 성과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투융자계획의 재조정 필요
    - FTA와 관련성이 낮은 생산기반에 대한 개보수는 일반 농정사업으로 전환, 국산 농산물 수요·소비기반 확충 관련 투융자 사업을 FTA 보완대책으로 추진

    ◦ 향후 FTA 보완대책의 실효성 제고와 농업인의 정책 만족도 증진을 위해서는, 융자금리 인하, 담보 규정 완화, 보증 지원 확대, 지급단가의 현실화 등이 필요
    - FTA 단기 피해보전대책의 경우, 수입기여도의 법규화, 피해보전비율의 상향조정(90→100%), 폐업 시 축사시설 사용권 제한 등의 개선 검토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문한필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8889 0 47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 다음글 Outcome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Complementary Measures for Domestic Industry in Response to FTAs
  • 이전글 농업·농촌경제 동향 2014년 여름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