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제4유형
  • 농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농지임대차 관리 방안
  • 
						    농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농지임대차 관리 방안

    과제성격
    연구보고 (R777)
    저자
    채광석 , 김홍상; 윤성은
    등록일
    2017.02.17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1996년 「농지법」시행 이후 현재까지 농업경영 목적으로 취득한 농지를 제외하고는 임대차를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2015년도 통계청 농가경제조사 자료에 의하면 실제로는 임대차 농지는 전체 농지의 과반수 이상이고, 임차농도 전체 농가의 59.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법과 현실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소유와 이용 결합을 강조하는 ‘경자유전 원칙'을 폐기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현행「농지법」에서는 ‘임대차 확인’, ‘임대차 최소 기간(3년)’ 등을 명시하고 있으나, 임대차의 전반적인 관리에...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농지임대차 제도 변화 과정과 현황
      제3장 농지임대차 현황 및 변동 요인 분석
      제4장 농지이용 현황 및 임대차 관행
      제5장 외국의 농지임대차 관리 제도
      제6장 농지임대차 관리 방안

    요약문

    1996년 「농지법」시행 이후 현재까지 농업경영 목적으로 취득한 농지를 제외하고는 임대차를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2015년도 통계청 농가경제조사 자료에 의하면 실제로는 임대차 농지는 전체 농지의 과반수 이상이고, 임차농도 전체 농가의 59.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법과 현실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소유와 이용 결합을 강조하는 ‘경자유전 원칙'을 폐기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현행「농지법」에서는 ‘임대차 확인’, ‘임대차 최소 기간(3년)’ 등을 명시하고 있으나, 임대차의 전반적인 관리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임차농이 실제로 경작하고 있으나 각종 보조금을 농지소유주가 편취하거나, 장기간 안정적 경영 및 투자가 필요한 시설농업이나 과일농가의 경우에도 불안정한 농지임차로 안정적 영농계획 수립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다.

    ‘경자유전 원칙'은「헌법」에 명문으로 규정된 우리 농업의 가장 중요한 제도이다. 다만, 변화된 농업여건을 감안해 ‘경자유전 원칙'이 우리 농업 발전에 장애가 되지 않으면서 그 본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농지임대차를 단순히 허용 또는 금지의 차원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관점인 ‘경자유전 원칙'에 입각하여 농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임대차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저자정보

    채광석 이미지

    저자소개
    채광석 (Chae, Gwangseok)
    - 연구위원
    - 소속 : 자원환경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채광석 이미지

    저자소개
    채광석 (Chae, Gwangseok)
    - 연구위원
    - 소속 : 자원환경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3577 2 269 0 7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최윤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
      202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승용
      2022.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김영준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