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영국의 농촌 지역사회 활성화 사례와 시사점
  • 
						    영국의 농촌 지역사회 활성화 사례와 시사점

    과제성격
    토의자료(W) (W046)
    저자
    성주인
    등록일
    2017.11.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영국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산업화를 이루었고, 급속한 도시 성장에서 비롯한 폐해도 앞서서 경험한 나라이다. 도시 문명의 부작용을 극복하려는 시도 역시 일찍부터 일어나 전원도시운동, 내셔널트러스트를 비롯한 자연‧문화‧전통 보전운동, 예술공예운동 등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회활동들이 벌어진 본고장이다. 이런 대안적 운동들의 밑바탕에는 공통적으로 영국 농촌이 지닌 고유한 가치가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는 여러 모로 영국과 대비되는 나라이다. 불과 수십 년 전까지 농경사회의 전통 속에 머물다가 도시화‧산업화에 ...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잉글랜드 농촌 현황
      제3장 잉글랜드 농촌정책 동향
      제4장 농촌 지역사회 활성화 사례
      제5장 종합 및 시사점

    요약문

    영국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산업화를 이루었고, 급속한 도시 성장에서 비롯한 폐해도 앞서서 경험한 나라이다. 도시 문명의 부작용을 극복하려는 시도 역시 일찍부터 일어나 전원도시운동, 내셔널트러스트를 비롯한 자연‧문화‧전통 보전운동, 예술공예운동 등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회활동들이 벌어진 본고장이다. 이런 대안적 운동들의 밑바탕에는 공통적으로 영국 농촌이 지닌 고유한 가치가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는 여러 모로 영국과 대비되는 나라이다. 불과 수십 년 전까지 농경사회의 전통 속에 머물다가 도시화‧산업화에 후발 주자로 나섰다. 국민들의 주거 선호로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는 영국 농촌과 달리, 우리나라는 급속한 인구 유출로 많은 지역에서 농촌 공동화를 우려하고 있다. 농촌 지역경제에서 농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 면에서도 두 나라는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많은 점에서 상이한 조건을 지니고 있지만, 영국 농촌의 상황과 정책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게 적지 않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영국 국민들은 농촌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지니고 있다. 자치 원리에 입각하여 공동체의 일을 주민 스스로가 돌보려는 영국 농촌 사회의 전통도 뿌리 깊다. 이런 영국 농촌의 모습은 우리 농촌정책의 장기적 비전 모색 시 생각해볼 방향이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성주인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농촌정책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65309 0 77 0 0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3~2027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수립방안 연구

      2023~2027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수립방안 연구
      국승용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국승용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승용
      2022.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성주군 참외산업 발전전략 수립 연구

      성주군 참외산업 발전전략 수립 연구
      윤종열
      2020.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채소가격안정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준 수급물량 산정 연구

      채소가격안정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준 수급물량 산정 연구
      김원태
      2020.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돼지고기 수급 및 유통체계 분석

      돼지고기 수급 및 유통체계 분석
      국승용
      2020.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황의식
      2020.07.31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황의식
      2019.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2/5차년도)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2/5차년도)
      국승용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황의식
      2020.07.31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업의 농업 진입 관련 쟁점과 과제

      기업의 농업 진입 관련 쟁점과 과제
      김병률
      2017.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황의식
      2019.12.31
      KREI 보고서

      더보기

    • 
														    돼지고기 수급 및 유통체계 분석

      돼지고기 수급 및 유통체계 분석
      국승용
      2020.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지역 통계정보 확장 사례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지역 통계정보 확장 사례
      국승용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사회적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농촌지역 사회적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국승용
      2018.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2/5차년도)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2/5차년도)
      국승용
      2019.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익산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익산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황의식
      2019.02.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수립 연구
      김정호
      201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익산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요약보고서

      익산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요약보고서
      황의식
      2019.02.28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목제품 수출핸드북
  • 이전글 제주산 마늘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