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 마늘 산지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연구
  • 
						    마늘 산지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연구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21-24)
    저자
    김병률 , 김성우; 주재창; 이상민; 하수안
    등록일
    2021.08.30
  •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산지유통과 도매시장 유통 실태를 심층 조사하여 산지 및 도소매 유통주체, 유통경로별 비중과 거래실태, 거래제도 문제점, 시장지배력, 가격결정구조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산지유통에서 생산자조직의 역할 강화, 산지유통 개선, 산지 및 도매시장 거래제도 개선, 산지 깐마늘 가공, 저장 시설 설치 및 운영 개선 등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보고서는 발주처가 있는 보고서로 원문공개에 제한이 있습니다.
    원문에 대한 문의는 학술정보팀으로 연락주세요. (061...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마늘 수급 및 정책 현황과 지역별 생산 실태
      제3장 마늘 유통체계와 산지유통 실태
      제4장 깐마늘 가공현황과 운영 실태
      제5장 마늘 도매 유통 현황과 실태
      제6장 마늘 거래가격 형성 및 시장집중도 분석
      제7장 마늘 산지유통 개선 방안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산지유통과 도매시장 유통 실태를 심층 조사하여 산지 및 도소매 유통주체, 유통경로별 비중과 거래실태, 거래제도 문제점, 시장지배력, 가격결정구조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산지유통에서 생산자조직의 역할 강화, 산지유통 개선, 산지 및 도매시장 거래제도 개선, 산지 깐마늘 가공, 저장 시설 설치 및 운영 개선 등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보고서는 발주처가 있는 보고서로 원문공개에 제한이 있습니다.
    원문에 대한 문의는 학술정보팀으로 연락주세요. (061-820-2282,2215)]

    저자정보

    김병률 이미지

    저자소개
    김병률
    - 명예선임연구위원
    - 소속 : 양념채소관측팀

    저자에게 문의

    김병률 이미지

    저자소개
    김병률
    - 명예선임연구위원
    - 소속 : 양념채소관측팀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2109 0 0 7 2
    • 
														    2023년 가공식품 소비자태도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2023년 가공식품 소비자태도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이계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가공식품 소비자태도조사 심층분석 보고서

      가공식품 소비자태도조사 심층분석 보고서
      이계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FTA 원산지규정 활용방안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FTA 원산지규정 활용방안
      김상현
      2023.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뱅크 기부에 따른 탄소저감 수치화 연구

      푸드뱅크 기부에 따른 탄소저감 수치화 연구
      홍연아
      2023.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2 가공식품 소비자태도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2022 가공식품 소비자태도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이계임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 분야 북방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민간투자 촉진 방안

      농업 분야 북방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민간투자 촉진 방안
      김종선
      2019.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수출시장 진출여건 분석 :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일본을 중심으로

      농식품 수출시장 진출여건 분석 :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일본을 중심으로
      김상현
      2019.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기계 임대사업 평가 및 컨설팅(2018) 밭작물 농기계 기업의 임대사업 참여 실태와 개선 방안
      김정호
      2019.02.28
      KREI 보고서

      더보기

    • 
														    2018 발간 보고서 요약집

      2018 발간 보고서 요약집
      KREI
      2019.01.17
      KREI 보고서

      더보기

    •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과 상생협력모델 연구

      중국 IT기업의 농업부문 진출과 상생협력모델 연구
      정정길
      2018.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18 발간 보고서 요약집

      2018 발간 보고서 요약집
      KREI
      2019.01.17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업의 농업 진입 관련 쟁점과 과제

      기업의 농업 진입 관련 쟁점과 과제
      김병률
      2017.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비즈니스 시스템 구축을 통한 농촌기업 활성화 방안

      비즈니스 시스템 구축을 통한 농촌기업 활성화 방안
      김광선
      2018.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산물 유통체계의 국제비교분석과 유통정책 개선방향(2/2차년도)

      농산물 유통체계의 국제비교분석과 유통정책 개선방향(2/2차년도)
      최병옥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 분야 북방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민간투자 촉진 방안

      농업 분야 북방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민간투자 촉진 방안
      김종선
      2019.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Post-2015 대응 중장기 국제농업개발협력 추진 전략 수립

      Post-2015 대응 중장기 국제농업개발협력 추진 전략 수립
      허장
      2016.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자재 EPR 적용실태와 정책과제

      농자재 EPR 적용실태와 정책과제
      강창용
      2015.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기업의 농업참여 실태와 상생협력 방안
      김태곤
      2013.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전망 2008 : 한국 농업·농촌,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KREI
      2008.01.
      KREI 보고서

      더보기

    • 
														    해외농업개발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연구

      해외농업개발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연구
      이대섭
      2017.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웹스크레이핑을 활용한 농식품 온라인 소매유통 사례조사와 가능성 진단
  • 이전글 농촌 지역 장기요양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 경제적 유인 방안을 중심으로

맨위로